최양희 “소프트웨어는 무형물…감청설비 간주 어려워”

최양희 “소프트웨어는 무형물…감청설비 간주 어려워”

입력 2015-07-27 15:41
업데이트 2015-07-27 15: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나테크, 감청설비 해당안된다고 봐서 미신고한 것””논란 조기해소 갈망…인터넷 안심 이용토록 신뢰회복”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27일 국가정보원이 이탈리아 해킹팀으로부터 도입한 해킹 프로그램과 관련, “소프트웨어는 무형물이라고 보기 때문에 감청설비로 보기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 장관은 이날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해킹 프로그램 ‘리모트컨트롤시스템(RCS)’이 통신비밀보호법상 감청을 위해 인가가 필요한지에 대한 의원들의 질의에 “소프트웨어를 감청설비로 볼 것인가에 대한 부분은 여러 의견이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최 장관은 특히 “현재까지 소프트웨어로 감청설비의 인가를 신청한 사례가 없다”고 강조했다.

국정원에 해킹 프로그램 구매를 중개한 나나테크가 RCS를 수입하고 신고하지 않은 경위에 대해서도 “감청설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봐서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 장관은 앞서 인사말에서 “사이버 세상에서는 매일같이 국경을 넘나드는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 정부는 북한의 테러위협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책무와 함께 국민의 통신비밀을 보호하고 통신자유를 신장할 책무가 있다”며 “오늘 회의를 통해 불필요한 논란이 조기에 해소되길 갈망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대테러 해외정보역량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함께 우리 국민도 ICT(정보통신기술) 강국에 걸맞게 다양한 최신 인터넷 서비스 등을 안심하고 이용하도록 법제도와 환경을 개선하고 국민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