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부산 회동’은 28일 오전 11시부터 오찬을 겸해 1시간 40여분 동안 배석자 없이 진행됐다.
이날 회동은 대다수 측근들도 구체적인 시간, 장소를 사전에 모를 정도로 철저한 보안 속에 이뤄졌다. 양측은 연휴 전부터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및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등을 논의하기 위한 ‘한가위 회동’을 예고했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불투명한 상태였다.
다만 양측은 연휴 중 두 사람의 지역구가 있는 부산에서 회동하기로 어느 정도 의견 조율을 이룬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지난 25일 “(추석) 연휴 중에 내가 한번 연락을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날 회동 역시 김 대표가 직접 연락을 취해 회동을 제안, 문 대표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성사됐다. 두 대표간 핫라인이 가동된 셈이다. 회동을 위해 김 대표는 서울에서 부산으로 내려왔고, 전날까지 양산 자택에서 머물렀던 문 대표도 이날 오전 부산으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밑에서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소속 여야 위원 뿐 아니라 새누리당 김학용 비서실장, 새정치연합 최재성 총무본부장 등도 분주하게 움직였다는 게 양측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정개특위 관계자는 “여야 간사 라인이 양당 대표에게 연휴 직전까지 보고를 이어갔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회동에 앞서 김 대표 측에서 기존의 ‘김무성식 오픈프라이머리’만을 고집하지 않고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받을 수 있다’고 얘기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회동 성사 직전 양측이 ‘안심번호제에 의한 국민공천제 도입’이라는 큰 틀의 의사접근을 이뤘다는 얘기다.
한편 이날 회동 직후 두 대표는 직접 자필로 작성한 합의문 내용을 카메라 앞에서 직접 읽어내려갔다. 합의 내용 발표는 두 대표가 문구를 확인하느라 당초 예상시간 보다 20분쯤 미뤄졌다. 권역별 비례대표제나 석패율제, 농어촌 지역구 조정을 비롯한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비율 문제 등의 쟁점들도 회동 테이블 위에 올려졌으나 진전을 보진 못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이날 회동은 대다수 측근들도 구체적인 시간, 장소를 사전에 모를 정도로 철저한 보안 속에 이뤄졌다. 양측은 연휴 전부터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및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등을 논의하기 위한 ‘한가위 회동’을 예고했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불투명한 상태였다.
다만 양측은 연휴 중 두 사람의 지역구가 있는 부산에서 회동하기로 어느 정도 의견 조율을 이룬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지난 25일 “(추석) 연휴 중에 내가 한번 연락을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날 회동 역시 김 대표가 직접 연락을 취해 회동을 제안, 문 대표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성사됐다. 두 대표간 핫라인이 가동된 셈이다. 회동을 위해 김 대표는 서울에서 부산으로 내려왔고, 전날까지 양산 자택에서 머물렀던 문 대표도 이날 오전 부산으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밑에서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소속 여야 위원 뿐 아니라 새누리당 김학용 비서실장, 새정치연합 최재성 총무본부장 등도 분주하게 움직였다는 게 양측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정개특위 관계자는 “여야 간사 라인이 양당 대표에게 연휴 직전까지 보고를 이어갔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회동에 앞서 김 대표 측에서 기존의 ‘김무성식 오픈프라이머리’만을 고집하지 않고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받을 수 있다’고 얘기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회동 성사 직전 양측이 ‘안심번호제에 의한 국민공천제 도입’이라는 큰 틀의 의사접근을 이뤘다는 얘기다.
한편 이날 회동 직후 두 대표는 직접 자필로 작성한 합의문 내용을 카메라 앞에서 직접 읽어내려갔다. 합의 내용 발표는 두 대표가 문구를 확인하느라 당초 예상시간 보다 20분쯤 미뤄졌다. 권역별 비례대표제나 석패율제, 농어촌 지역구 조정을 비롯한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비율 문제 등의 쟁점들도 회동 테이블 위에 올려졌으나 진전을 보진 못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