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정부 청와대 인사 평균재산 24억4천만원…평균 6천만원↑

朴정부 청와대 인사 평균재산 24억4천만원…평균 6천만원↑

입력 2017-08-25 06:55
업데이트 2017-08-25 06: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7명 중 2명 제외 10억원 이상 신고…정연국·박요찬 59억

25일 관보에 게재된 재산공개 내역에는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 일하다가 퇴직한 인사 17명의 재산도 함께 공개돼 있다.

이들이 신고한 재산의 평균액은 24억4천700만원이다. 이번에 새로 재산을 신고한 현 정부 청와대 인사 재산 평균액 19억7천900만원에 비하면 4억6천800만원 정도 많은 수치다.

8억1천700만원의 재산을 신고한 김용승 전 교육문화수석과 1억8천800만원의 재산을 신고한 윤장석 전 민정비서관을 제외하면 모두 10억원 이상을 보유하고 있었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인사는 59억1천100만원을 신고한 정연국 전 대변인이다.

부인과 공동으로 소유한 강남의 아파트를 비롯해 건물이 64억2천만원인 동시에 아파트 보증금 등 건물임대 채무도 23억원이나 됐다.

박요찬 전 정무비서관은 건물계약 해지 등 직전 재산신고 때와 비교하면 1천500만원 가량이 줄어든 것을 반영해 59억9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조대환 전 민정수석(42억1천900만원), 배성례 전 홍보수석(36억4천300만원), 정진철 전 인사수석(26억4천만원),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 1차장(25억700만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박근혜 정부 청와대 인사들의 재산은 평균 6천만원 가량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정권이 바뀌면서 청와대에서 퇴직할 때 받은 퇴직금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가장 많이 재산이 늘어난 사람은 김관진 전 국가안보실장으로, 김 실장은 4억7천100만원이 늘어난 24억7천7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배우자 명의의 중랑구 묵동 아파트 가액이 2억5천만원 가량 올랐고 역시 부산에 있는 배우자 명의의 단독주택 가액도 1억2천만원 가량 오른 덕이다.

이영석 전 경호실 차장도 같은 기간 2억8천400만원의 재산이 늘어났다.

5천100만원이 감소한 18억9천900만원을 신고한 한광옥 전 비서실장을 비롯해 조대환 전 민정수석, 박요찬 전 정무비서관 등 4명은 재산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