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정상회담 D-1] 최근접 경호 靑이 맡을 듯… 두 정상 만나는 현장은 ‘합동 경호’

[평양정상회담 D-1] 최근접 경호 靑이 맡을 듯… 두 정상 만나는 현장은 ‘합동 경호’

이근홍 기자
입력 2018-09-16 22:26
업데이트 2018-09-16 2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文대통령 2박3일 경호 어떻게

2007년 盧 전 대통령 방북경호 준할 듯
2·3선은 北 담당…‘조용한 경호’에 무게
평양시내 무개차 퍼레이드 재연될 수도


평양에서 18~20일 이뤄지는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문재인 대통령의 경호 문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제관례상 경호책임은 초청국에 있지만 남북 정상 간 만남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문 대통령의 최근접 경호는 청와대가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지난 14일 판문점에서 진행된 남북 정상회담 고위급 실무협의에 최병일 경호본부장을 보내 북측과 경호 문제에 관한 협의를 마쳤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공개하지 않았다.

단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평양 방문 때 국제관례를 깨고 북측 대신 청와대 경호실이 최근접 경호를 맡은 점을 감안하면 문 대통령의 경호도 이에 준할 것으로 관측된다.

노 전 대통령이 걸어서 군사분계선(MDL)을 넘은 직후부터 제2선 경호는 북측에 넘어갔기 때문에 이번에도 최근접 경호는 청와대 경호처가, 2·3선 경호는 북측이 담당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만남이 이뤄지는 현장에서는 최근접 경호를 제외하면 남북 합동경호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 당시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등장할 때 북측 호위총국 소속 경호원 6∼7명과 우리 쪽 경호원 4∼5명이 최근접 경호를 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이미 두 차례의 정상회담을 실시한 점은 경호 차원에서의 신뢰감 형성에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는 평가다.

4·27 남북 정상회담 당시 청와대 경호처와 북한 호위사령부는 회담이 열린 공동경비구역(JSA) 남측 지역을 ‘특별경호구역’으로 지정하고 두 정상을 합동으로 경호했다. 김 위원장이 이동할 때 북측 경호원이 전용 차량을 둘러싸고 수행한 경우 외에는 남북 모두 ‘조용한 경호’에 공을 들였다. 실무협의에서 경호 문제가 잘 조율됐다면 문 대통령이 평양국제비행장에 도착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무개차 퍼레이드가 재연될 수도 있다. 노 전 대통령은 북측의 제안을 받아들여 2007년 무개차에 올랐다.

이근홍 기자 lkh2011@seoul.co.kr
2018-09-17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