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8일 2년 만에 광주 5·18 기념식에 직접 참석한 것은 5·18을 폄훼한 최근 극우 보수 일각의 행태를 비판하고 정쟁 중지를 촉구하는 동시에 지역·국민 통합의 메시지를 던지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진행된 제39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취임 첫해인 2017년 이후 2년 만에 참석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최소 격년에 한 번은 (기념식을) 찾겠다’고 했던 발언을 지키겠다는 뜻을 꾸준히 표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가운데 5·18을 부정하고 배후 의혹을 제기하는 자유한국당과 일부 극우 진영의 망언이 이어지면서, 촛불 정부를 광주 정신의 계승으로 규정했던 문 대통령으로서는 더 이상 두고볼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당 내 망언 의원 당사자들에 대한 징계가 지지부진하고,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이 지지부진하는 등 여의도 정치권의 갈등 역시 한 몫 거들었다.
발언의 약속을 지킴과 동시에 후퇴하는 정치권의 역사 인식을 좌시할 수 없다는 절박함이 문 대통령의 광주행 발걸음을 재촉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40주년인 내년 기념식에 참석하는 게 좋겠다는 주변 의견이 있었다”고 밝히면서 “하지만 저는 올해 꼭 참석하고 싶었다.광주 시민들께 너무나 미안하고 너무나 부끄러웠고 국민들께 호소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속내를 전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이미 20년도 더 전에 광주 5·18의 역사적 의미와 성격에 대해 국민적 합의를 이루었고, 법률적인 정리까지 마쳤다”며 “이제 이 문제에 대한 더 이상의 논란은 필요하지 않다. 의미 없는 소모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문 대통령은 “5·18의 진실은 보수·진보로 나뉠 수 없다”며 “광주가 지키고자 했던 가치가 바로 ‘자유’이고 ‘민주주의’였기 때문이다. 독재자의 후예가 아니라면 5·18을 다르게 볼 수 없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5·18 이전, 유신시대와 5공 시대에 머무는 지체된 정치의식으로는 단 한 발자국도 새로운 시대로 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직 출범하지 못한 진상조사규명위원회에 대한 약속도 이날 기념사에서 다시금 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특별법에 의한 진상조사 규명 위원회가 출범하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모든 자료를 제공하고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다함께 미래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오월이 지켜낸 민주주의의 토대 위에서 함께 나아가야 한다”며 “광주로부터 빚진 마음을 대한민국의 발전으로 갚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념사에서 지역 상생을 위한 광주와 대구의 ‘달빛 동맹’을 언급한 것도 같은 취지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대구 2·28 민주화 운동을 상징하는 228번 시내버스가 오늘부터 5월의 주요 사적지인 주남마을과 전남대병원, 옛 전남도청과 5·18 기록관을 운행한다”고 소개했다. 대구에서는 5·18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518번 시내버스도 운행 중이다.
문 대통령은 “대구 달구벌과 광주 빛고을은 ‘달빛동맹’을 맺었고 정의와 민주주의로 결속했다”며 “이것이 우리가 가야 할 용서와 화해의 길”이라고 밝혔다.
5·18을 놓고 이념 갈등이 첨예해진 상황에서 고질적인 지역주의를 넘어선 국민 통합을 이루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날 기념식 후 문 대통령은 고등학생 시민군 고 안종필군 어머니 이정님 여사를 부축해 희생자 묘역으로 이동한 뒤 고 김완봉·조사천·안종필씨 묘역에 헌화하고 묵념했다. 안군은 5·18 당시 전남도청에서 최후 항전을 하다 총상을 입고 목숨을 잃었다.
고 김완봉씨 묘역에 멈춰선 문 대통령은 고인의 동생에게 “언제, 어디서, 어떤 상황에서 총에 맞았는지 모르시나”라고 물으며 손을 잡고 위로했다. 고 조사천씨 묘역에서는 고인의 아들이 영정사진을 들고 있는 장면이 담긴 사진을 언급하며 “전 세계에 사진이 유명해졌다”라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고 안종필씨 모역에서 모친 이 여사가 “종필아 미안하다. 여태까지 한을 못 풀게 했다. 어떻게 해야 네 한이 풀리겠냐”라며 통곡하자, 문 대통령은 이 여사 어깨를 감싸 안고 포옹하며 위로했다. 김 여사도 눈물을 보였다.
이날 기념식에는 5·18 민주화운동 관련 단체, 일반 시민, 학생 등 5000여명이 참석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문 대통령은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진행된 제39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취임 첫해인 2017년 이후 2년 만에 참석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최소 격년에 한 번은 (기념식을) 찾겠다’고 했던 발언을 지키겠다는 뜻을 꾸준히 표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가운데 5·18을 부정하고 배후 의혹을 제기하는 자유한국당과 일부 극우 진영의 망언이 이어지면서, 촛불 정부를 광주 정신의 계승으로 규정했던 문 대통령으로서는 더 이상 두고볼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당 내 망언 의원 당사자들에 대한 징계가 지지부진하고,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이 지지부진하는 등 여의도 정치권의 갈등 역시 한 몫 거들었다.
발언의 약속을 지킴과 동시에 후퇴하는 정치권의 역사 인식을 좌시할 수 없다는 절박함이 문 대통령의 광주행 발걸음을 재촉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40주년인 내년 기념식에 참석하는 게 좋겠다는 주변 의견이 있었다”고 밝히면서 “하지만 저는 올해 꼭 참석하고 싶었다.광주 시민들께 너무나 미안하고 너무나 부끄러웠고 국민들께 호소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속내를 전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이미 20년도 더 전에 광주 5·18의 역사적 의미와 성격에 대해 국민적 합의를 이루었고, 법률적인 정리까지 마쳤다”며 “이제 이 문제에 대한 더 이상의 논란은 필요하지 않다. 의미 없는 소모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 고 안종필씨의 묘역에서 어머니 이정임 씨를 위로하고 있다. 광주 연합뉴스
아직 출범하지 못한 진상조사규명위원회에 대한 약속도 이날 기념사에서 다시금 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특별법에 의한 진상조사 규명 위원회가 출범하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모든 자료를 제공하고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다함께 미래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오월이 지켜낸 민주주의의 토대 위에서 함께 나아가야 한다”며 “광주로부터 빚진 마음을 대한민국의 발전으로 갚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념사에서 지역 상생을 위한 광주와 대구의 ‘달빛 동맹’을 언급한 것도 같은 취지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대구 2·28 민주화 운동을 상징하는 228번 시내버스가 오늘부터 5월의 주요 사적지인 주남마을과 전남대병원, 옛 전남도청과 5·18 기록관을 운행한다”고 소개했다. 대구에서는 5·18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518번 시내버스도 운행 중이다.
문 대통령은 “대구 달구벌과 광주 빛고을은 ‘달빛동맹’을 맺었고 정의와 민주주의로 결속했다”며 “이것이 우리가 가야 할 용서와 화해의 길”이라고 밝혔다.
5·18을 놓고 이념 갈등이 첨예해진 상황에서 고질적인 지역주의를 넘어선 국민 통합을 이루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날 기념식 후 문 대통령은 고등학생 시민군 고 안종필군 어머니 이정님 여사를 부축해 희생자 묘역으로 이동한 뒤 고 김완봉·조사천·안종필씨 묘역에 헌화하고 묵념했다. 안군은 5·18 당시 전남도청에서 최후 항전을 하다 총상을 입고 목숨을 잃었다.
고 김완봉씨 묘역에 멈춰선 문 대통령은 고인의 동생에게 “언제, 어디서, 어떤 상황에서 총에 맞았는지 모르시나”라고 물으며 손을 잡고 위로했다. 고 조사천씨 묘역에서는 고인의 아들이 영정사진을 들고 있는 장면이 담긴 사진을 언급하며 “전 세계에 사진이 유명해졌다”라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고 안종필씨 모역에서 모친 이 여사가 “종필아 미안하다. 여태까지 한을 못 풀게 했다. 어떻게 해야 네 한이 풀리겠냐”라며 통곡하자, 문 대통령은 이 여사 어깨를 감싸 안고 포옹하며 위로했다. 김 여사도 눈물을 보였다.
이날 기념식에는 5·18 민주화운동 관련 단체, 일반 시민, 학생 등 5000여명이 참석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