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포커스] 한국당 사무총장 자리는 ‘독이 든 성배’?

[정치 포커스] 한국당 사무총장 자리는 ‘독이 든 성배’?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19-06-18 17:50
업데이트 2019-06-19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선 공천 생사여탈권 쥔 파워 불구 후임 거론되자 일부 지명될까 난감

아군에 ‘칼’ 대고 낙선 징크스에 꺼려
“총장되면 지역구 관리 소홀… 고민 돼”

자유한국당 한선교 사무총장이 지난 17일 사퇴함에 따라 당내에서는 후임자로 3선의 강석호, 이진복, 이명수 의원 등이 거론된다. 당 살림을 총괄하는 막강한 권한의 사무총장은 누구나 선호할 것 같지만 거론되는 인사 중 일부는 의외로 자신이 지명될까 난감해하고 있다.

후보로 거론되는 A 의원은 18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대표가 맡아달라고 해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된다”며 “민감한 시기에 막중한 일을 맡게 되는 것이고, 공천에 깊게 관여해야 하는 입장이라 망설여지는 것이 사실”이라고 했다. B 의원도 “사무총장이 되면 당에 묶이게 돼 지역구를 소홀할 수밖에 없다”며 “총선을 앞두고 지역구 관리 소홀은 낙선의 또 다른 지름길”이라고도 했다.

내년 총선이 불과 11개월 남은 상황에서 새 사무총장은 의원의 생사여탈권을 쥐게 되는 공천심사위원회 당연직 위원으로 합류할 수 있다. 그래서 사무총장이 되면 자신의 공천권을 지키는 데 유리하다는 것이 정치권의 속설이다.

그럼에도 이들 후보 의원들이 난감해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동료 의원들에게 칼을 들이대는 악역을 맡아야 해서다. 당연직 위원으로 공심위원이 되면 대표 등의 뜻에 따라 공천권을 행사하게 되는데 이때 필수적으로 희생자가 생겨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공천에서 떨어진 의원은 자신을 쳐낸 사무총장 등 공심위원에게 원한을 갖게 된다. 이 때문에 총선을 앞두고 사무총장이 되면 ‘악업(惡業)을 쌓는다’는 말까지 나온다.

‘사무총장으로 공천권을 행사하면 총선에서 떨어진다’는 징크스도 한몫한다. 18대 총선을 앞두고 한국당 전신인 한나라당 사무총장이었던 이방호 의원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측근으로 통했다. 그는 공심위 간사로 활동하며 일명 ‘친박’(친박근혜) 학살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이 때문에 ‘박근혜 지지자’들이 낙선운동을 했고 결국 한나라당 텃밭인 경남 사천에서 민주노동당 강기갑 후보에게 패하며 3선의 꿈을 접어야 했다.

19대 총선을 앞두고 권영세 한나라당 사무총장도 박근혜 전 대통령의 뜻대로 공심위를 좌지우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사무총장 역할 때문에 지역구 활동을 소홀히 한 탓인지 그도 19대 총선에서 민주당 신경민 후보에게 덜미를 잡혔다. 20대 총선 때 새누리당 사무총장으로 공심위에 참여했던 황진하 전 의원은 민주당 박정 후보에게 졌다.

한국당의 한 인사는 “한국당 공천에서 칼을 휘두른 사무총장이 총선에서 떨어지는 것이 반복되자 사무총장 자리를 ‘독이 든 성배’라는 얘기도 한다”고 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9-06-19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