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어지는 ‘어공 학자·늘공 관료’ 경제팀

굳어지는 ‘어공 학자·늘공 관료’ 경제팀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19-06-23 22:52
업데이트 2019-06-24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기 ‘학자·학자’ 실패 이후 패턴 반복 개혁 김상조·거시통 이호승 공조 기대

지난 21일 발표된 청와대 정책라인 인사를 보면 ‘어공(어쩌다 공무원)’과 ‘늘공(늘 공무원)’을 보완재로 인식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용인술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문 대통령은 정책 사령탑에 개혁성향 학자 출신(김상조 정책실장)을, 청와대와 경제 부처 간 가교 역할까지 해야 하는 경제수석에는 기획재정부 엘리트 관료(이호승 경제수석)를 발탁해 ‘팀’으로 묶었다.

인수위원회 없이 시작한 현 정부 출범 직후 개혁성향 학자 조합인 ‘장하성 정책실장-홍장표 경제수석 체제’에서 ‘최저임금 인상=소득주도성장’이란 보수진영의 공세 프레임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것은 물론 김동연 경제부총리와의 갈등으로 홍역을 치른 이후 반복되는 패턴이다.

어공·늘공이란 출신 성분뿐만 아니라 업무상 보완관계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김상조 실장이 시민사회에서 재벌개혁 운동을 펼쳤고 공정거래위원장으로 문재인 정부의 3대 경제 정책기조 중 ‘공정경제’에 특화된 반면 이 수석은 지난해 12월 기재부 1차관으로 임명되기 전까지 일자리기획비서관과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기획단장을 겸임했다. 앞서 기재부에서는 종합정책과장과 경제정책국장 등 거시경제 관련 주요 보직을 모두 거쳤다.

여권 관계자는 23일 “어공과 늘공의 조합은 개혁이란 구호만으로는 성공하기 불가능하고 현실에 바탕을 둔 정교한 접근이 요구되기 때문”이라면서 “더욱이 집권 중반기인 만큼 관료사회를 움직이지 않고는 성과를 내기 어려운데 김 실장은 학자 출신이지만 공정거래위원장을 거쳤다는 점을 눈여겨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9-06-24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