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만찬, 프러 정상회담 늦어지며 연쇄적으로 밀려, 정부 ‘외교 결례’ 아냐
‘지각 대장’으로 유명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9일 진행된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 예정보다 2시간 가량 늦는 사태가 발생했다.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 오사카를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당초 G20 정상만찬 및 문화공연을 마친 28일 오후 10시 45분에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오후 9시 30분에 끝날 예정이던 문화공연이 1시간 가량 길어졌고, 한러 정상회담 직전인 10시 15분 예정됐던 프러 정상회담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40분 늦게 나타나면서, 회담 역시 30분간 일정을 넘겨 자정을 넘긴 0시 20분까지 85분 간 이어졌다. 연쇄적으로 한러 정상의 만남도 뒤로 미뤄지며 결국 자정을 넘겨 예정일보다 하루 뒤 회담을 치른 셈이 됐다.
이 바람에 문 대통령은 숙소에 2시간 가까이 대기하며 러시아 측 연락을 기다렸다. 문 대통령은 0시 25분경 숙소를 출발, 러시아 측 수속에 마련된 회담장으로 이동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일본 오사카의 한 호텔에서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앞서 반갑게 악수하고 있다. 오사카 연합뉴스
이를 두고서 회담장에 늦게 도착한 마크롱 대통령도, 문 대통령이 기다리는 것을 알고도 회담을 길게 이어간 푸틴 대통령도 외교 결례를 범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으나 청와대와 정부는 배경을 적극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국제회의를 하다 보면 일정대로 진행되지 않는 게 대부분”이라며 “만찬의 경우 정상끼리 대화하면 행사를 마칠 수 없는데, 이는 상황의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러 정상회담 직전 개최됐던 프러 정상회담도 연속적으로 늦어져 외교부에서 실무 협의했다는 설명이다.
청와대 관계자도 “양자 간 예의를 지키지 못했다는 ‘결례’의 문제는 아니다”라면서 “전체적인 일정이 순연돼 정상회담도 늦춰진 것”이라고 언급했다.
푸틴 대통령의 사과가 없었던 것과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오늘 상황을 양측이 긴밀히 소통하는 과정에서 러시아가 양해를 구했고, 우리는 그것을 받아들인 것”이라며 “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이) 추가적인 사과가 필요 없는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러 정상회담이 2시간 가량 지연되는 과정에서 ‘회담을 아침으로 미루자는 제안이 한쪽에서 나왔는가’라는 물음에 “늦어도 반드시 회담하자는 양측의 의지가 강했다”며 그런 제안은 없었다고 전했다.
회담을 마치고 나온 문 대통령은 참모들에게 웃으면서 “사상 초유의 심야(새벽) 정상회담인가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푸틴 대통령이 이번 회담을 포함해 문 대통령과의 5번의 정상회담 중 총 3번 지각했다.
2017년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첫 번째 회담에서 34분 늦었고, 지난해 6월 문 대통령의 러시아 국빈방문 때는 공식 환영식에 52분이나 늦으면서 이어진 정상회담도 40분 늦게 시작됐다.
푸틴 대통령은 앞서 2013년 11월 서울에서 열린 한러 정상회담과 2016년 9월 러시아에서 열린 한러 정상회담 때도 각각 40분, 1시간 45분 지각했다.
푸틴 대통령은 다른 국가 정상들과의 회담에도 늦는 사례가 다반서여서 ‘지각 대장’으로 불린다.
2014년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회담에는 4시간을 늦었고, 2016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는 2시간 늦게 나타났다.
이 때문에 지난해 11월 아세안(ASEAN) 정상회의 계기에 싱가포르에서 열린 한러 정상회담 당시 예정된 시각보다 5분 일찍 푸틴 대통령이 회담장에 도착했을 때는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오사카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