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전 일본 오사카 인텍스 오사카에서 G20 정상회의 세션3(주제 : 세계경제, 무역투자) 시작 전 일본 아베 총리와 인사하고 있다. 2019.6.29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6/29/SSI_20190629145414_O2.jpg)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전 일본 오사카 인텍스 오사카에서 G20 정상회의 세션3(주제 : 세계경제, 무역투자) 시작 전 일본 아베 총리와 인사하고 있다. 2019.6.29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6/29/SSI_20190629145414.jpg)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전 일본 오사카 인텍스 오사카에서 G20 정상회의 세션3(주제 : 세계경제, 무역투자) 시작 전 일본 아베 총리와 인사하고 있다. 2019.6.29 연합뉴스
문 대통령과 청와대는 G20 정상회의 기간 중 아베 총리와의 회담이 열릴 가능성을 염두에 두었으나 불발됐다. 대법원 강제징용 판결 등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갈등을 극복하지 못한 것이라는 풀이가 지배적이다.
애초 청와대는 지난 25일 오사카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럼에도 문 대통령은 한일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 않았다. 전날 G20 정상회의 개막 후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공식 환영식과 정상 만찬 등에서 만나 악수하는 등 다소 호전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친밀감을 드러내는 다른 신호는 보이지 않았다.
다만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은 오사카에서 G20 외교부 장관들과의 만찬이 끝난 뒤 오후 9시쯤 만나 한반도 문제와 한일관계 전반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예정돼 있지 않았던 회동이라는 점에서 약식회담이라도 여는 것에 대해 논의했을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선 아베 총리가 자국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한 전략적 판단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때문에 다음 달 21일 치러지는 일본 참의원 선거가 끝나면, 양국이 다시 정상회담을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한편 문 대통령은 사흘간 중국·인도·인도네시아·프랑스·러시아·캐나다 정상과 양자회담을 했다. 28일 아르헨티나·네덜란드 정상과의 약식회담을 포함하면 일본에 머무는 동안 총 8개국과 정상회담을 한 셈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