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文, 언론보도 통해 알아… 불같이 화내 왜 우리 정부서 시작하는지 당혹스럽다” 정책간담회서 상의했으나 보고는 안 해 “형평성 논란 등 예상 못한 처사” 지적도
문재인 대통령 뉴스1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문재인 대통령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2022년 문 대통령 개별기록관을 만들겠다’는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의 전날 발표에 대해 “나는 개별 기록관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해 계획이 사실상 백지화됐다. 국가기록원은 발표 하루 만인 이날 개별기록관 설치를 전면 재검토하기로 하면서 해프닝을 빚었다.
문 대통령은 “개별기록관은 국가기록원의 필요에 의해 추진하는 것으로, 국가기록원이 판단할 사안”이라며 “개별기록관 건립을 지시하지도 않았으며, 그 배경은 이해하지만 왜 우리 정부에서 시작하는지 모르겠다. 당혹스럽다”고 말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이날 브리핑에서 전했다.
고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해당 뉴스를 보고 당혹스럽다고 하면서 불같이 화를 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이 “원하지 않는다”고 단호히 말한 사실을 공개한 점으로 미뤄 청와대가 사실상 백지화를 지시한 것으로 이해됐다.
고 대변인은 “마치 대통령 지시로, 혹은 대통령의 필요에 의해 개별기록관을 만드는 것처럼 보도되고 있다. 야당도 그런 주장을 하고 있다”며 “중요한 것은 문 대통령이 원해서 건립하라고 한 사안이 아니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기록원은 이날 오후 이소연 원장 주재로 긴급 임원 회의를 연 뒤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 못한 결과 불필요한 오해와 논란을 일으켰다”며 ”문 대통령 뜻을 존중해 개별기록관 설치를 전면 재검토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언론 보도를 통해 이 사실을 처음 알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기록원은 조용우 청와대 국정기록비서관과 정례 정책간담회에서 상의했으나 이런 내용이 문 대통령에게 보고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기록원 자체 사업이고 청와대 결재가 필요한 사안이 아닌 만큼 문 대통령이 몰랐다는 것이 청와대 설명이다.
그럼에도 대통령 개별기록관을 둘러싸고 벌어질 형평성 논란 등을 예상치 못한 것은 안이한 처사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날 국가기록원은 퇴임한 대통령의 기록물을 보관하는 개별 대통령기록관을 조성하겠다며 문 대통령이 첫 사례라고 밝혔다. 172억원을 들여 3000㎡ 규모로 2022년 5월까지 만들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세종시 통합대통령기록관의 서고 사용률이 83.7%로 곧 포화 상태에 이르는 데다 증축보다 개별기록관을 설립하는 쪽이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고도 했다.
이에 야당은 즉각 반발했다. 자유한국당 이주영 의원은 “국민 혈세로 대통령 기념관을 만들겠다는 뻔뻔한 시도까지 들켰다. 국민을 개나 돼지쯤으로 생각하지 않으면 도저히 못 할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9-09-1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