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北 정찰위성 얼마나 또렷할까…‘군사용으로 못 써’ 관측

北 정찰위성 얼마나 또렷할까…‘군사용으로 못 써’ 관측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3-05-20 07:13
업데이트 2023-05-21 1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 CSIS 연구원 “해상도 3m 추정”…군집 운용·지상교신 등 과제 수두룩

이미지 확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정찰위성 발사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7일 보도했다. 통신은 “김정은 동지께서 16일 비상설위성발사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에서 지도하셨다”며 “위원회의 차후 행동계획을 승인하셨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현지 지도에는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가 지난달 우주개발국에 이어 동행했다. 2023.5.17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정찰위성 발사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7일 보도했다. 통신은 “김정은 동지께서 16일 비상설위성발사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에서 지도하셨다”며 “위원회의 차후 행동계획을 승인하셨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현지 지도에는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가 지난달 우주개발국에 이어 동행했다. 2023.5.17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발사를 준비 중인 ‘군사정찰위성 1호기’의 성능은 군사용에 못 미칠 것이라고 미국 전문가가 추정했다.

2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조지프 버뮤데즈 선임연구원은 북한 정찰위성의 가로·세로·높이를 각 60㎝, 60㎝, 80㎝로 보고 무게는 75∼100㎏ 정도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북한 위성이 미국 민간 위성사진 서비스 업체 ‘플래닛 랩스’의 위성과 매우 유사할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정찰위성 성능과 관련해선 “성공적으로 발사된다면 3m 혹은 그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해상도 3m는 북한이 강조하는 군사적 목적 정찰에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성능이다.

북한은 지난해 12월 준중거리 탄도미사일(MRBM)을 발사하고 ‘위성 시험품’이라 주장하며 이를 통해 촬영했다는 사진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공개된 사진은 해상도 20m 수준으로, 일반적인 상업용 위성 성능에도 크게 못 미쳤다.

위성의 해상도는 위성 카메라 등으로 지표상 물체를 얼마나 정밀하게 파악하는지 나타내는 척도다. 해상도 1m는 가로·세로 1m의 물체가 위성 사진에서 한 점으로 나타난다는 뜻이다.

해상도 20m라면 가로·세로 20m 물체를 한 점으로 표시해버리는 수준이라 지상 상황을 알아보기가 불가능하다.

북한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사진 역시 용산 대통령실 일대를 촬영했다지만, 서울의 한강 윤곽과 용산 위치를 보여주는 정도에 불과했다.

버뮤데즈 연구원의 분석대로 만약 북한이 해상도 3m를 달성한다면 12월보다는 개선된 것이겠으나 이 역시 군사 용도로는 부족하다.

정찰·첩보위성으로 쓰려면 1m 이하 해상도를 뜻하는 ‘서브 미터’급은 돼야 한다.

미국이 1976년 처음 쏘아 올린 KH-11 위성은 해상도 13∼45㎝급으로 알려졌으며, 비스듬한 각도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다고 한다.

외부에 공개된 바가 거의 없는 최신 KH-13의 경우 해상도가 1㎝급이라는 관측도 있다. KH는 열쇠 구멍(Key Hole)을 뜻하며, 작은 물체도 정밀하게 들여다본다는 의미다.

미국 등의 정보당국은 정찰 및 첩보 수집 역량이 알려지는 것을 막고자 위성 사진을 공개할 때 일부러 해상도를 조절하기도 한다고 알려졌다.

중국의 경우 2017년 발사한 ‘육지답사 1호’ 위성이 해상도 0.1∼0.2m로 알려져 ‘중국판 키홀’로 불린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비상설 위성발사준비위원회’ 현지 지도 소식을 지난 17일 공개하며 위성 실물 모습을 사진으로 일부 공개했다.

위성체 상단에는 광학카메라를 넣는 경통 2개가 설치됐는데 국내 전문가들은 이 경통이 짧아서 해상도가 그리 높지 않을 것이라고 추정한 바 있다.

북한이 “최우선적인 국방력 강화 정책”이라는 군사정찰위성 운용에 다가서려면 고해상도 확보뿐 아니라 위성을 ‘많이’ 쏴야 한다는 과제도 있다.

북한은 고도 500∼1500㎞ 사이의 ‘지구저궤도’(LEO)에 군사정찰위성을 배치할 것으로 관측되는데, 지구저궤도 위성은 특정 지역을 매일 같은 시간에 통과할 수 있다.

즉 위성 1대로는 해당 시간에만 특정 지역 관측이 가능하고 그마저도 광학 카메라를 쓴다면 구름 등 지구 대기의 영향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저궤도 위성은 군집 형태로 다수를 운용해야 효과를 낼 수 있고, 이외에 위성 데이터 송·수신 등 다른 난제도 산적하다.

다만 김정은이 “다량의 군사정찰위성을 다각 배치하여 위성에 의한 정찰 정보수집 능력을 튼튼히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는 만큼 1호기 이후 추가 제작·발사 시도가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권윤희 기자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