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수사관 출신…윤 대통령 측근 비례 당선권 밖에 배치되자 반발 ‘윤한 갈등’ 불씨 남았다는 해석도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 주기환 민생특보 임명장 수여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주기환 전 국민의힘 광주시당위원장에게 대통령 민생특보 임명장을 수여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윤석열 대통령, 주기환 민생특보 임명장 수여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주기환 전 국민의힘 광주시당위원장에게 대통령 민생특보 임명장을 수여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장관급인 대통령 민생특별보좌관을 신설하고 주기환 전 국민의힘 광주시당위원장을 위촉했다. 최근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순번에 반발해 후보를 사퇴했던 주 위원장이 ‘윤·한 갈등’ 봉합 직후에 특보로 발탁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윤 대통령은 이날 곧바로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 신임 특보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대통령실은 민생과제 발굴과 민생토론회 점검을 하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주 특보는 윤 대통령의 측근으로, 지방선거에서 광주시장에 출마했다가 낙선했고 4·10 총선에서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비례대표에 지원했다. 그러나 당선권 밖인 24번에 배치되자 반발하며 사퇴했다. 주 특보의 위촉은 그의 사퇴 후 사흘 만이다.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이철규 의원은 지난 20일 주 전 위원장 등 호남 인사가 배제됐다며 반발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에 국민의미래는 비례대표 순번을 일부 조정했지만, 주 전 위원장은 포함되지 않았다.
전날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의 사퇴와 이종섭 주호주대사의 입국 결정으로 ‘윤·한’ 갈등이 봉합 수순에 돌입했지만, 주 전 위원장의 배제에 갈등의 불씨가 남았다는 해석도 있었다. 여권 관계자는 “한 위원장이 끝내 주 전 위원장을 비례명단에 넣어주지 않자, 보란 듯 인사권을 행사한 것 같다”고 말했다.
주 특보는 검찰 수사관 출신으로, 윤 대통령이 2003~2005년 광주지검에 근무하던 당시 인연을 맺었다고 한다. 이후 2011년 대검찰청 특수부에 파견돼 윤 대통령과 다시 근무했다. 대선 이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정무사법행정분과 전문위원을 지냈다.
이민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