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여기 있소”…전대 시즌, 꿈틀대는 여야 잠룡들

“나 여기 있소”…전대 시즌, 꿈틀대는 여야 잠룡들

손지은 기자
손지은, 장진복 기자
입력 2024-06-18 16:57
업데이트 2024-06-18 16: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입 전쟁에 현안 메시지로 존재감 부각
오세훈, 정무부시장에 김병민 내정
김동연, 친문비명계 새 구심점 부상
홍준표, ‘당 대표 감별사’ 이슈몰이

이미지 확대
오세훈 서울시장. 2024.6.7 서울시 제공
오세훈 서울시장. 2024.6.7 서울시 제공
여야 광역단체장 잠룡들이 ‘전당대회의 계절’을 맞아 정무직 인선 재정비와 ‘당무 훈수’ 메시지로 존재감을 보여주고 있다. 차기 대선의 잠재적 경쟁자인 당권 주자들이 당분간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는 만큼 이 시기를 어떻게 넘기느냐에 따라 존재감을 드러낼 수도, 잃을 수도 있다는 판단이 깔렸다.

최근 여의도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났다는 여야 의원들이 부쩍 늘었다. 오 시장은 여야 의원뿐 아니라 국민의힘 소속 낙선자들까지 모두 만나는 ‘식사 정치’로 여의도와의 접촉면을 늘렸다.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 시장은 대외협력 업무를 총괄할 정무부시장에 김병민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을 내정하는 등 정무직 인선 재정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김 전 최고위원은 오 시장의 지방선거 캠프 대변인,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선대위 대변인을 맡았고, 오랜 방송 경험으로 전국적 인지도를 갖춘 인물로 평가받는다.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오 시장의 목소리도 부쩍 커졌다. 금융투자소득세, 연금개혁, 대북확성기 재가동 등 추후 오 시장의 국정 구상을 엿볼 수 있는 현안들이다. 또 ‘해외 직구 규제’와 ‘지구당 부활’을 두고는 국민의힘 유력 주자인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각을 세웠다.
이미지 확대
김동연 02 (2022.06.13~)
김동연 02 (2022.06.13~) 정치교체추진위원회에서 발언하는 김동연 당선인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인이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정치교체추진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김 당선인은 더불어민주당 정권교체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다. 2022.6.28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
(끝)adboy@yna.co.kr/2022-06-28 15:04:31/ <저작권자 ⓒ 1980-2022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동연 경기지사는 친문(친문재인)·비명(비이재명)계의 새 구심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친문 핵심인 전해철 전 의원을 경기도 정책 자문기구인 도정자문위원장으로 위촉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 행정안전부 장관 등을 지낸 전 전 의원은 4·10 총선 공천 과정에서 ‘강성 친명(친이재명)’ 양문석 의원에게 패배했다.

김 지사는 차기 대권 경쟁자인 이재명 대표의 ‘민주당 일극 체제 재편’도 공개 비판했다. 그는 지난 11일 ‘민주당 당헌·당규 개정에 이의 있습니다’라는 글로 당권·대권 분리조항 완화 등에 우려를 표했다. 특히 경기도는 4·10 총선에서 친문계가 강성 친명들에 줄줄이 낙천해 김 지사가 영입할 수 있는 자원이 넘친다. 6개월 공석이었던 경기도 대변인을 어떤 인물로 발탁할지도 관심이다.
이미지 확대
홍준표 08 (2017.7.3- / 자료사진 포함)
홍준표 08 (2017.7.3- / 자료사진 포함) 자유한국당 당대표로 선출된 홍준표 후보가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향후 당운영에 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7.07.03
홍준표 대구시장은 국민의힘의 주요 국면마다 이슈를 주도하고 있다. 홍 시장은 지난해 3·8 전당대회 당시 당권 주자들의 정치 이력을 일일이 거론하며 ‘당대표 감별사’로 나서기도 했다. 홍 시장은 이번 7·23 전당대회에도 사실상 가장 먼저 참전한 인물이다. 홍 시장은 지난 16일 한 전 위원장을 향해 “총선을 망친 주범들이 당권을 노린다고 삼삼오오 모여 저리 난리 치니 참 뻔뻔하고 어이없는 당이 되어가고 있다”고 했다.

손지은·장진복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