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보위, 국정원 현안질의
플루토늄 70㎏·우라늄 다량 보유美연구원 “67~112기 생산 물질 확보”
신형탄도미사일 2발 중 1발 명중
‘적대적 두 국가’ 후속 조치할 수도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안주영 전문기자
국가정보원은 26일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공위성·미사일 발사 등 다양한 군사적 도발 수단이 있으므로, 미국 대선 전보다는 후에 핵실험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간사인 이성권 국민의힘·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정보위 전체회의 현안 질의에서 국정원이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고 전했다.
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3일 고농축우라늄(HEU) 제조시설을 방문한 사진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처음 공개된 것에 대해 국정원은 “대외적으로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미국을 의식한 행위”라며 “대내적으로는 경제 상황이 안 좋기에 주민들의 자신감을 고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의 핵 능력에 대해선 플루토늄을 70여㎏ 보유하고 있고, 고농축우라늄은 무기화했을 때 최소 두 자릿수 이상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양이라고 평가했다. 고농축우라늄 제조시설 위치는 확정하지 않았지만 여러 정황을 고려하면 영변보다는 강선일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국정원은 이날 7차 핵실험 시기를 ‘미 대선 이전보다 이후’로 전망했다. 앞서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23일 “미 대선 전후로 북한이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한 데서 더 나아간 분석이다. 이에 대해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국정원은 북한의 핵실험과 ICBM 발사가 변수보다는 상수라고 보는 듯하다. 상수라면 군축 협상을 원하는 북한 입장에서 미 대선 전보다는 이후가 셈법 계산에 더욱 용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 대선 전 핵실험은 중국의 반대와 미국 독자 제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를 부르지만 대선 날까지 기다린 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된다면 핵실험을 하지 않아도 북미 간 군축 협상 가능성이 생길 수 있다는 의미다.
국정원은 이날 현안 질의에서 북한의 지난 18일 신형 전술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관련해 “두 발이 발사됐는데 그중 한 발이 표적지에 도달했다. 과거보다 조금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북한이 다음달 7일 최고인민회의에서 ‘적대적 두 국가’ 방침에 따라 헌법 개정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전망했다.
한편 미국 싱크탱크인 랜드연구소의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은 이날 세종연구소가 주최한 2024 한미핵전략포럼에서 북한이 최대 112기의 핵무기를 생산할 수 있는 핵분열 물질을 확보했다고 분석했다. 동료인 그레고리 존스 랜드연구소 연구원의 논문에 따르면 지난해 말 북한의 핵분열 물질 보유량은 플루토늄 85㎏, 고농축우라늄 1000~1900㎏으로, 핵무기 1기 생산을 위해 약 5㎏의 플루토늄이나 20㎏의 고농축우라늄이 필요한 것을 감안할 때 북한은 67~112기의 핵무기를 만들 역량을 가졌다는 것이다.
2024-09-2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