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군이래 처음… 金국방 “분명한 응징 이뤄져야”
이명박 대통령이 4일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를 직접 주재한다. 대통령이 이 회의를 주재하는 것은 1948년 건군(建軍) 이후 62년만에 처음이다. 1년에 상·하반기 두 차례 열리는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는 지금까지 국방부 장관이 주재했다.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2일 “현직 대통령이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를 주재하는 것은 건군 이래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그만큼 이번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사안을 중차대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최고 지휘관들에게 천안함 사건이 우리 군과 국민에게 던져 준 과제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군 통수권자로서의 입장을 밝힌 뒤 군에 무거운 당부와 주문을 할 예정이다.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 참석자는 통상 회의 때와 같은 150명 정도로, 민간자문위원들도 회의에 참석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 대통령은 당초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대국민담화를 하는 방안을 검토해왔지만, 사건 원인이 확실히 밝혀진 뒤 담화를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고, 대신 전군 주요 지휘관회의에 참석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우리 장병들을 순국하게 한 세력에 대해선 어떤 형태든 간에 분명한 응징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는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의 영결식 조사 발언에 동의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성수 오이석기자
sskim@seoul.co.kr
2010-05-0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