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원인을 조사 중인 민·군 합동조사단은 이르면 18일 이뤄질 조사결과 발표 때 가해자를 특정하지 않고 침몰 원인에 대한 설명만 할 것이라고 복수의 군 관계자가 13일 밝혔다.
합조단의 조사 과정에 정통한 군 고위 관계자는 “가해자를 찾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번 발표는 중간결과 정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사건 현장에서 수집한 파편들을 분석 중이지만 어뢰 파편이라는 증거를 찾진 못했다.”면서 “최종 조사결과가 나오기까지는 해외 사례들처럼 1년이 걸릴지 3년이 걸릴지 모르는 장기 조사가 될 것”이라고 했다.
●파편조각 北어뢰와 비교중
조사단에서는 이번 사건의 배후에 북한이 있다는 심증은 갖고 있으나, 결정적인 물증 부족으로 북한 관련성을 보고서에 적시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조사단은 침몰 원인만 밝히고 국방부가 ‘정무적 판단’을 통해 정황적으로 가해자를 북한으로 지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정부 고위 관계자는 말했다.
미 해군의 경우 2000년 예멘 아덴항에서 급유를 받던 8600t급 구축함 ‘USS콜’호가 알카에다 요원 2명이 몰던 자폭 보트의 공격을 받아 선체에 직경 10여m의 구멍이 뚫리고 수병 17명이 사망한 사고를 당했으나, 이 사건의 배후를 밝히는데 1년 이상의 조사기간이 걸렸다. 또 1946년 알바니아 해역에서 영국 함정이 기뢰에 의해 침몰한 사건은 파편을 수거해 가해자를 찾는 데 2년이 걸렸다고 군 관계자는 설명했다.
●“어뢰공격 발표땐 北 제재 가능”
군의 또 다른 소식통은 “파편 수거 작업은 계속 진행하게 될 것이며 그에 대한 기술적 분석도 지속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해외 조사단은 사건 원인을 밝히기 위한 기술적 자문을 위해 입국했던 것으로 그들의 임무는 모두 끝나 조만간 귀국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합조단에 합류했던 영국의 전문가는 조사 결과가 거의 마무리됐다면서 오는 15일 귀국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가 철회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외국조사단은 조사결과 발표 이후 출국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또 현재 합조단이 천안함 침몰 해역에서 수거한 의심스러운 파편 5조각 중 3조각을 7년 전 우리 해역으로 떠내려온 북한의 훈련용 어뢰와 비교 중이라고 밝혔다. 조사단은 미국과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등에서 분석작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가해자 조사에 차질을 빚고 있는 조사단이 김태영 국방 장관에게 최근 가해자를 특정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보고했으며, 김 장관은 북한의 소행이라는 심증이 있다면 그에 맞는 논리를 구성하고 증거를 찾아보라는 주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 관계자는 “조사단이 어뢰 공격이 확실하다는 발표를 할 경우 가해자는 정황상 북한밖에 없기 때문에 북한에 책임을 추궁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무리가 없다.”고 말했다. 다른 정부 관계자는 “정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등 가능한 대북 제재조치를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합조단의 조사 과정에 정통한 군 고위 관계자는 “가해자를 찾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번 발표는 중간결과 정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사건 현장에서 수집한 파편들을 분석 중이지만 어뢰 파편이라는 증거를 찾진 못했다.”면서 “최종 조사결과가 나오기까지는 해외 사례들처럼 1년이 걸릴지 3년이 걸릴지 모르는 장기 조사가 될 것”이라고 했다.
●파편조각 北어뢰와 비교중
조사단에서는 이번 사건의 배후에 북한이 있다는 심증은 갖고 있으나, 결정적인 물증 부족으로 북한 관련성을 보고서에 적시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조사단은 침몰 원인만 밝히고 국방부가 ‘정무적 판단’을 통해 정황적으로 가해자를 북한으로 지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정부 고위 관계자는 말했다.
미 해군의 경우 2000년 예멘 아덴항에서 급유를 받던 8600t급 구축함 ‘USS콜’호가 알카에다 요원 2명이 몰던 자폭 보트의 공격을 받아 선체에 직경 10여m의 구멍이 뚫리고 수병 17명이 사망한 사고를 당했으나, 이 사건의 배후를 밝히는데 1년 이상의 조사기간이 걸렸다. 또 1946년 알바니아 해역에서 영국 함정이 기뢰에 의해 침몰한 사건은 파편을 수거해 가해자를 찾는 데 2년이 걸렸다고 군 관계자는 설명했다.
●“어뢰공격 발표땐 北 제재 가능”
군의 또 다른 소식통은 “파편 수거 작업은 계속 진행하게 될 것이며 그에 대한 기술적 분석도 지속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해외 조사단은 사건 원인을 밝히기 위한 기술적 자문을 위해 입국했던 것으로 그들의 임무는 모두 끝나 조만간 귀국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합조단에 합류했던 영국의 전문가는 조사 결과가 거의 마무리됐다면서 오는 15일 귀국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가 철회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외국조사단은 조사결과 발표 이후 출국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또 현재 합조단이 천안함 침몰 해역에서 수거한 의심스러운 파편 5조각 중 3조각을 7년 전 우리 해역으로 떠내려온 북한의 훈련용 어뢰와 비교 중이라고 밝혔다. 조사단은 미국과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등에서 분석작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가해자 조사에 차질을 빚고 있는 조사단이 김태영 국방 장관에게 최근 가해자를 특정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보고했으며, 김 장관은 북한의 소행이라는 심증이 있다면 그에 맞는 논리를 구성하고 증거를 찾아보라는 주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 관계자는 “조사단이 어뢰 공격이 확실하다는 발표를 할 경우 가해자는 정황상 북한밖에 없기 때문에 북한에 책임을 추궁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무리가 없다.”고 말했다. 다른 정부 관계자는 “정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등 가능한 대북 제재조치를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05-1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