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위협 北장사정포 대비 軍 정밀유도폭탄 850발 증강

수도권 위협 北장사정포 대비 軍 정밀유도폭탄 850발 증강

입력 2010-11-02 00:00
업데이트 2010-11-02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이 북한의 장사정포 위협에 대비해 정밀유도폭탄(JDAM) 850여발을 오는 2016년까지 추가로 확보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연장로켓(MLRS)탄도 1만여발을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다.

1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우리 군은 DMZ 근처에 근접 배치된 북한의 장사정포 300문의 수도권 공격이 개전 초기 가장 큰 위협으로 판단되면서 장사정포의 공격을 타격하고 탐지하기 위한 전력을 증원하기로 했다.

●MLRS탄 1만여발로 초기대응

이에 따라 군은 현재 1만여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MLRS탄을 오는 2016년까지 1만여발 추가로 확보해 이상징후가 발견되면 북한의 장사정포 진지를 집중적으로 공격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GPS로 표적의 위치를 추적해 정밀 타격할 수 있는 JDAM도 같은 기간 850여발을 증강키로 했다.

지난달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일부 의원들은 우리 군의 MLRS탄의 예비탄약이 1주일 분도 되지 않아 북한의 장사정포 및 개전 초기 대응이 가능하겠느냐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대포병 탐지레이더 13대 배치 추진

군은 또 대포병 탐지레이더 ARTHUR 13대를 2015년까지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다. 기존에 배치된 TPQ-37급이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추가로 접적지역에 배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ARTHUR는 탐지거리가 60㎞에 달해 북한이 수도권을 향해 장사정포를 발사하면 즉시 탐지가 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군은 ARTHUR를 현재 수대 보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 전술지 휘체계 연동 원활하게

이와 함께 그동안 한국군과 미군이 북한군에 대한 화력전 대응에서 수분 정도 뒤늦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 중이던 프로그램이 지난 7월 완료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한국군 측 전술지휘통제체계(C4I)인 KJCCS와 미군 측 C4I인 JADOCS간 연동이 원활하게 진행돼 북한과의 대화력전에서 즉각적인 대응이 이뤄지게 됐다.

앞서 제3군사령부는 2005년 10월 미 2사단으로부터 대화력전수행본부 임무를 인수받아 한국군 주도의 대화력전 수행체계를 정착시키기 위해 준비해 왔다.

군의 고위 관계자는 “유사시 수도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우선 과제로 상시 임무수행 체계를 유지해 왔다.”면서 “한·미 연합 감시자산으로 장사정포 활동을 지속적으로 감시해 이상 징후가 발견될 경우 즉시 타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11-02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