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스헬기’ 거액 허위정비료 챙긴 업체서 수뢰 포착…창군이래 최대규모
군 수사기관이 링스헬기 허위 정비 사건과 관련된 해군 관계자 120여명 전원에 대해 계좌추적을 한 것으로 18일 확인됐다. 이는 창군 이래 최대 규모로, 군수비리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가 시작된 것을 의미한다.
연합뉴스

한국 해군의 링스(LYNX) 헬기
연합뉴스
연합뉴스
군 수사기관은 최근 링스헬기와 대잠 초계기 P3C를 정비하지 않고도 정비한 것처럼 속여 정비비 수십억원을 챙긴 혐의로 기소된 D사 등 3개사로부터 해군 관계자들이 돈을 받은 정황을 포착해 수사에 착수했다고 군 고위 소식통이 전했다.
부산지검이 당초 해군을 피해자로 판단해 업체들을 사기혐의로 기소했지만, 현금을 전달한 정황이 담긴 메모를 군 수사기관이 입수하면서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메모에 적힌 명단과 그들이 운용하고 있는 차명계좌 등 관련계좌 모두에 대해 계좌추적을 실시하는 등 관련자들에 대한 수사를 진행했다. 계좌 추적 대상에는 해군 군수사령부 등에 근무하는 간부 등 현역 간부들과 군무원, 관련 민간인들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돈을 전달한 업체 관계자는 편의점 등을 돌며 수십만원씩 현금을 인출하는 등 수사기관의 추적이 어렵도록 용의주도하게 범행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군 수사기관이 관련자 120여명에 대한 계좌추적을 통해 돈이 흘러간 정황을 포착함에 따라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관련 업체들이 2003년부터 수년간 거짓 정비를 해온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금품 전달이 지속적으로 이뤄졌을 것으로 보고 저인망식 수사를 벌이고 있다. 군 수사기관은 지난주 초 부산지검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이첩받아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와 함께 군 수사기관은 부사관 1명이 사망한 K21장갑차 사고에 대해서도 수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장갑차 등 K계열 장비에 대한 감사결과를 금명간 발표하고 관련 자료를 수사기관에 넘길 예정이다.
또 앞서 밑창이 떨어지는 불량 전투화 납품에 대해서도 군 검찰이 추가수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군 검찰은 불량 전투화 납품비리와 관련해 군 관계자들의 개입에 대해 수사하는 한편 민간인 관련자들에 대한 고발장을 작성해 검찰에 제출할 예정이다.
군 고위 관계자는 “최근 잇단 군수비리 사건에 대해 구조적 문제가 많다는 지적에 따라 전방위 수사가 시작됐다.”면서 “수사 인력이 부족하지만 비리 척결을 위한 고강도 수사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11-19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