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독분량 고작 1% 연구위해 반납 타당” “문화부 무시한 결정 반환요구 봇물일 것”
이명박 대통령과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지난 12일 프랑스에 약탈당한 외규장각 도서(왕실의궤)를 사실상 반환키로 합의한 데 대해 도서를 관리하고 있는 파리 국립도서관(BNF) 사서들은 “절차를 무시한 나쁜 선례”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지한파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이번 합의가 양국 관계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평가와는 대조적으로 프랑스 내부의 목소리가 극명하게 갈리고 있는 분위기다.![서울대 규장각에 보관돼 있는 외규장각 소장 도서목록 ‘정사 외규장각형지안’. 병인양요로 외규장각이 불타 버리기 9년 전인 1857년 작성된 것으로 프랑스가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는 약탈 도서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1/20/SSI_20101120014705.jpg)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대 규장각에 보관돼 있는 외규장각 소장 도서목록 ‘정사 외규장각형지안’. 병인양요로 외규장각이 불타 버리기 9년 전인 1857년 작성된 것으로 프랑스가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는 약탈 도서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1/20/SSI_20101120014705.jpg)
서울대 규장각에 보관돼 있는 외규장각 소장 도서목록 ‘정사 외규장각형지안’. 병인양요로 외규장각이 불타 버리기 9년 전인 1857년 작성된 것으로 프랑스가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는 약탈 도서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뱅상 베르제 파리7대학 총장과 장 루 살즈만 파리13대학 총장, 자크 랑 전 문화장관 등 지한파 지식인 3명은 18일(현지시간) 일간 르몽드에 게재한 기고문에서 “이번 합의는 양국 간 오랜 갈등에 종지부를 찍는 역사적 행동이며 양국 외교의 큰 성공”이라고 평가했다. 이들은 마틴 프로스트 파리7대학 한국학과장의 제의로 지난 4월 결성된 ‘외규장각 의궤 반환 지지협회’ 소속 회원으로 스스로 ‘한국의 친구들’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혀 왔다.
특히 랑 전 문화장관은 지난 1993년 양국 정부가 합의했던 외규장각 도서 반환을 주도했던 당사자이며 이번 합의 직후 “외규장각 도서 반환 때 한국에 함께 가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들은 기고에서 “프랑스 대학 내 한국어학과에 등록하는 학생 수가 급증하는 등 프랑스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이번 합의는 한국과 프랑스 간에 문화적, 지적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프로스트 교수는 “이들은 외규장각 도서가 극히 일부만 해독되는 등 프랑스에서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는 점을 아쉬워하며 실질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한국에 돌려줘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해 왔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프랑스 학계에서는 현재 BNF가 보관하고 있는 외규장각 도서 중 해독된 분량이 전체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경제관계만 고려한 성급한 약속”
반면 BNF 사서 11명은 이날 진보 성향 일간지인 라 리베라시옹에 ‘의궤 관련 BNF 직원들의 성명문’을 발표하고 “양국 정상의 합의는 BNF와 프랑스 문화부의 입장에 반하는 결정”이라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들은 “5년 단위 갱신 대여는 어디까지나 명분일 뿐 사실상의 반환 행위”라며 “이는 국내법과 상충되며 결국 프랑스가 보유하고 있는 문화재에 대해 다른 국가들의 반환 요구를 부추기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 정부는 양국 정부 간 협의를 통해 모든 사항을 결정한 후 BNF와는 기술적인 부분에만 치중하겠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주프랑스 한국대사관 측은 “실무협상을 조속히 마무리짓고 도서를 빨리 한국으로 가져가겠다.”고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11-2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