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은 원자력 분야 협력방안과 관련된 실무협의를 내달 미국에서 개최하기로 한 것으로 21일 알려졌다.
이번 실무협의에는 우리 측에서 김건 외교통상부 한미 원자력협정 태스크포스(TF) 팀장이, 미국 측에서 국무부 원자력 분야 핵심인사들이 참여한다.
특히 현재 답보상황인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에 대한 의견조율이 시도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건 팀장을 단장으로 한국 협상단은 지난 2월 워싱턴DC에서 로버트 아인혼 미국 국무부 비확산및군축담당 특별보좌관을 만나 2014년 만료되는 한미 원자력 협정개정 문제를 집중 협의했으나 성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정부 소식통은 20일 “양국의 원자력 분야 협력을 위한 실무 협의를 위해 9월중 시애틀 등에서 회의를 할 계획을 잡고 있으나 장소와 구체적인 일자 확정 등 세부사안이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양국은 지난해 12월 박노벽 한미 원자력협정 협상 전담대사와 아인혼 특보가 참석한 가운데 서울에서 원자력협정 개정 협상을 진행했다.
특히 양측은 각각 마련한 협정 개정문 초안에 대한 협의를 하면서 ▲원자력 기술개발 문제 ▲산학협력 ▲안전조치 ▲수출 원활화 등의 분야 가운데 사용 후 핵연료를 재처리하는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관련, 김성환 외교부 장관은 최근 “재처리에 대해 미국도 절대 안된다는 입장은 아닌 것으로 안다”며 “(한국의) 변화된 상황을 감안해 우리의 요구를 분명히 하겠다”고 말했다.
또 게리 세이모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량살상무기(WMD) 조정관도 지난달 워싱턴DC에서 한국기자들에게 “워싱턴과 서울에 있는 모든 관계자들이 평화적인 핵협력을 지속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며 “이 이슈에서 해결책을 찾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1974년 발효된 한미 원자력협정은 2014년까지 유효하며, 한미 양국은 그 전에 협정개정 문제를 마무리하기 위해 협상중이다.
현재 한국은 핵 연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은 국제적인 핵 비확산 정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미온적이다.
특히 한미 양국 모두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어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를 조기에 타결지을 수 있을 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연합뉴스
이번 실무협의에는 우리 측에서 김건 외교통상부 한미 원자력협정 태스크포스(TF) 팀장이, 미국 측에서 국무부 원자력 분야 핵심인사들이 참여한다.
특히 현재 답보상황인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에 대한 의견조율이 시도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건 팀장을 단장으로 한국 협상단은 지난 2월 워싱턴DC에서 로버트 아인혼 미국 국무부 비확산및군축담당 특별보좌관을 만나 2014년 만료되는 한미 원자력 협정개정 문제를 집중 협의했으나 성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정부 소식통은 20일 “양국의 원자력 분야 협력을 위한 실무 협의를 위해 9월중 시애틀 등에서 회의를 할 계획을 잡고 있으나 장소와 구체적인 일자 확정 등 세부사안이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양국은 지난해 12월 박노벽 한미 원자력협정 협상 전담대사와 아인혼 특보가 참석한 가운데 서울에서 원자력협정 개정 협상을 진행했다.
특히 양측은 각각 마련한 협정 개정문 초안에 대한 협의를 하면서 ▲원자력 기술개발 문제 ▲산학협력 ▲안전조치 ▲수출 원활화 등의 분야 가운데 사용 후 핵연료를 재처리하는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관련, 김성환 외교부 장관은 최근 “재처리에 대해 미국도 절대 안된다는 입장은 아닌 것으로 안다”며 “(한국의) 변화된 상황을 감안해 우리의 요구를 분명히 하겠다”고 말했다.
또 게리 세이모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량살상무기(WMD) 조정관도 지난달 워싱턴DC에서 한국기자들에게 “워싱턴과 서울에 있는 모든 관계자들이 평화적인 핵협력을 지속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며 “이 이슈에서 해결책을 찾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1974년 발효된 한미 원자력협정은 2014년까지 유효하며, 한미 양국은 그 전에 협정개정 문제를 마무리하기 위해 협상중이다.
현재 한국은 핵 연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은 국제적인 핵 비확산 정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미온적이다.
특히 한미 양국 모두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어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를 조기에 타결지을 수 있을 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