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가 2월 말쯤 2차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 시기에도 관심이 쏠린다. 당초 청와대는 내부적으로 3·1절 100주년 기념식에 맞춰 답방을 추진했지만, 북·미가 합의한 일정을 감안하면 시간이 촉박한 터라 3월 중순∼4월이 합리적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3·1절 답방은 북·미회담 일정상 촉박
청와대 관계자는 20일 “북·미가 2월 말 실질적 성과를 내는 회담을 한다는 조건이 충족된다면 직후부터 답방 논의도 본격화될 것”이라며 “북측도 2차 회담에 올인하는 상황인 만큼 그 전에 논의가 이뤄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지난 19일 “북·미회담의 성공에 이어서 답방이 이어지기를 희망하고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과의 긴밀한 공조 및 남북 대화를 확대해 가면서 2차 회담 성공을 위한 ‘촉진자’ 역할을 하겠다는 게 청와대 입장이다. 2차 회담에서 가시적 비핵화와 상응 조치가 나와야 경제협력 등 논의의 폭이 확대되면서 김 위원장의 역사적 방남에도 무게가 실릴 것이라는 판단이다.
현재로선 답방을 위한 남북 협의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3월 말~4월 중 답방 추진 중이라는 일본 언론 보도에 대해 김의겸 대변인은 “추진한 적도 논의된 적도 없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2차 북·미 회담에서 비핵화의 비약적 진전을 이룬다면 동력을 이어 가고자 이른 시일 내 답방을 추진될 것이란 관측은 여전하다. 문재인 대통령도 신년회견에서 “2차 북·미 회담이 열리면 어떤 형태로든 남북 정상이 마주앉아 결과를 공유하고 남북 관계 발전을 협의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3월 북·미 회담 땐 ‘4·27 답방’ 가능성도
북·미가 날짜를 못박지 않고 ‘2월 말쯤’이라고 한 데다 지난해 6·12 정상회담이 막판까지 곡절을 겪었던 점에 비춰보면 회담이 3월로 미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조기 답방보다는 남북 모두에게 의미 있는 날짜를 택일하는 데 무게를 둔다면 4·27 정상회담 1주년 즈음이 ‘적기’라는 관측도 나온다. 첫 남북 정상회담이 이뤄진 6월 15일 전후, 비핵화 과정이 급물살을 타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 논의로 연결된다면 정전협정이 체결됐던 7월 말(27일), 3·1절 못지않게 상징성이 큰 광복절(8월 15일)도 가능한 선택지로 꼽힌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3·1절 답방은 북·미회담 일정상 촉박
청와대 관계자는 20일 “북·미가 2월 말 실질적 성과를 내는 회담을 한다는 조건이 충족된다면 직후부터 답방 논의도 본격화될 것”이라며 “북측도 2차 회담에 올인하는 상황인 만큼 그 전에 논의가 이뤄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지난 19일 “북·미회담의 성공에 이어서 답방이 이어지기를 희망하고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과의 긴밀한 공조 및 남북 대화를 확대해 가면서 2차 회담 성공을 위한 ‘촉진자’ 역할을 하겠다는 게 청와대 입장이다. 2차 회담에서 가시적 비핵화와 상응 조치가 나와야 경제협력 등 논의의 폭이 확대되면서 김 위원장의 역사적 방남에도 무게가 실릴 것이라는 판단이다.
현재로선 답방을 위한 남북 협의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3월 말~4월 중 답방 추진 중이라는 일본 언론 보도에 대해 김의겸 대변인은 “추진한 적도 논의된 적도 없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2차 북·미 회담에서 비핵화의 비약적 진전을 이룬다면 동력을 이어 가고자 이른 시일 내 답방을 추진될 것이란 관측은 여전하다. 문재인 대통령도 신년회견에서 “2차 북·미 회담이 열리면 어떤 형태로든 남북 정상이 마주앉아 결과를 공유하고 남북 관계 발전을 협의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3월 북·미 회담 땐 ‘4·27 답방’ 가능성도
북·미가 날짜를 못박지 않고 ‘2월 말쯤’이라고 한 데다 지난해 6·12 정상회담이 막판까지 곡절을 겪었던 점에 비춰보면 회담이 3월로 미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조기 답방보다는 남북 모두에게 의미 있는 날짜를 택일하는 데 무게를 둔다면 4·27 정상회담 1주년 즈음이 ‘적기’라는 관측도 나온다. 첫 남북 정상회담이 이뤄진 6월 15일 전후, 비핵화 과정이 급물살을 타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 논의로 연결된다면 정전협정이 체결됐던 7월 말(27일), 3·1절 못지않게 상징성이 큰 광복절(8월 15일)도 가능한 선택지로 꼽힌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9-01-2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