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청장 특정 정당 독주 재현되나

서울 구청장 특정 정당 독주 재현되나

입력 2010-06-03 00:00
업데이트 2010-06-03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2 지방선거에서 서울시내 구청장에 특정 정당 소속 후보들이 무더기 당선되는 전례가 재현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1995년 지방자치제가 부활한 이래 서울에서는 시장 당선자를 낸 정당이 구청장 자리 대부분을 휩쓰는 현상이 반복됐다.

 민선 1기 지방선거에서는 조순 시장과 같은 민주당 소속 후보가 구청장 자리 23개를 휩쓸었고,당시 한나라당 전신인 민자당 소속 당선자는 서초와 강남 등 2곳에 불과했다.

 1998년 민선 2기에서도 당시 국민회의에서 고건 시장과 19명의 구청장 당선자를 냈으며,한나라당은 광진,노원,서초,강남,강동 등 5곳,자민련이 동작 1곳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서울 자치단체장 선거에서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전세는 2002년 민선 3기부터 역전됐다.

 민선 3기 때 한나라당은 이명박 시장과 함께 22개 구청장 자리를 휩쓸었고,민주당은 중구와 성동,관악 등 3곳만 가까스로 지켰다.

 특히 한나라당은 민선 4기에서는 서울시장뿐 아니라 25개 구청장 모두를 독차지해 1,2기 때의 패배를 민주당에 설욕했다.

 이런 양상은 서울시의회도 마찬가지였다.1기때 민주당 123명 대 민자당 10명,2기때 국민회의 78명 대 한나라당 15명,3기때 한나라당 87명 대 민주당 14명이었다.

 2006년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구청장과 함께 지역구 시의원 96석(비례대표 6명)도 싹쓸이한 반면 열린우리당은 비례대표 2석,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이 각 1석을 얻는 데 그쳤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이번 민선 5기 지방선거에서도 이런 특정 정당의 독주체제가 다시 나타날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서울시장과 구청장들이 유기적인 공조관계를 맺고 시정이나 구정을 펼쳐나갈 기반이 마련된다.

 여기에 시의회마저 같은 정당 출신이 상당수 의석을 차지하면 시정 운영에 강한 추진력도 얻게 된다.

 그러나 시장과 구청장,시의회 모두를 한 정당이 싹쓸이 하는 것은 상호 감시나 견제 기능을 약화시켜 지방자치제 취지를 퇴색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연합뉴스

☞[화보] 당선자들 환희의 순간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