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외교 냉온전략…韓 내치고 日 껴안고

北 외교 냉온전략…韓 내치고 日 껴안고

입력 2012-02-21 00:00
업데이트 2012-02-21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산상봉 실무협의 거부한 채 ‘김일성 100주년’ 日인사 초청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우리 정부가 제의한 이산가족 상봉 실무협의는 거부하면서 미국, 일본과는 잇따라 접촉에 나서며 한국을 소외시키는 전략을 펴고 있다.

북한은 오는 23일 중국 베이징에서 미국과 3차 북·미 고위급대화를 갖고 북한 핵 문제 등을 협의하기로 결정한 데 이어 오는 4월 고(故) 김일성 주석 탄생 100주년 기념행사에 일본 인사들을 초청하고, 일본인 유골 수습에 동의하는 등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나설 조짐이다.

20일 NHK방송에 따르면 북한 지도부는 오는 4월 15일 김 주석 탄생 100주년 행사를 앞두고 일본의 전 국회의원과 연구자, 민간단체 인사 등 약 60명을 초청한다. NHK는 “북한 지도부가 일본 인사를 초청한 것은 양국 교류와 정치적 관계 개선의 실마리로 삼으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교도통신도 이날 일본 정부 관계자가 지난해 11월 북한 측과 극비리에 접촉해 2차 세계대전 전후 북한에 남았다가 사망한 일본인의 유골 수습과 매장지 정비와 관련한 협의를 제안했으며, 북한 측으로부터 부정적 반응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일본 측으로서는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자 문제 해결을 위해 협의 재개를 시야에 넣고, 교착상태에 빠진 양국 관계의 국면 전환을 시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북한 잔류 일본인의 유골 반환을 추진하고 있는 단체에 따르면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인 3만 5000여명이 귀국하지 못하고 북한에 남아 있다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일본은 나카이 히로시 전 공안위원장 겸 납치문제담당상이 지난해 7월 북한의 송일호 북·일 국교정상화 교섭담당 대사와 극비 접촉을 시작했고, 지난달에도 중국에서 회동했다. 북한과 일본은 최근 일본인 납치자 문제 해결과 유골 반환, 국교정상화 문제, 북송 일본인 처의 귀국 문제 등을 물밑에서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2012-02-21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