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소행 입증… 엿새째 계속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5/04/SSI_20120504021751.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5/04/SSI_20120504021751.jpg)
3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ICAO는 지난해 3월 말 ‘북한의 교란행위는 한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의 민간 항공 안전에도 위협이 돼 앞으로 유사한 행위가 재발할 경우 한국과 협력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내용의 경고 서한을 북측에 발송했다.
ICAO는 1947년 설립된 특별기구로, 현재 북한을 포함해 191개 회원국이 참여하고 있다. 국제항공 규범 제정과 분쟁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지난해 3월 4~14일(11일간) 서해상에서는 한·미 키리졸브 훈련을 겨냥한 GPS 교란전파가 떠돌았다. 인천사령부 소속 연안경비정과 고속정에 GPS 장애가 발생했고, 김포지역에선 민간항공기 3~8대의 GPS에 중대한 이상이 발생했다. 이륙해 임무를 수행하던 미군 정찰기(RC-7B)가 이륙 40여분 만에 조기 귀환하기도 했다.
한편 북한의 소행으로 확실시되는 전파교란이 엿새째 계속됨에 따라 군을 비롯한 산업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토부는 3일 오후 2시까지 모두 337대의 민항기가 전파교란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과거 소련으로부터 도입해 운용 중인 다양한 통신·레이더 교란 장비 20여종과 100㎞ 이내에서 전파교란을 할 수 있는 러시아제 장비를 활용 중인 것으로 추정한다.
강자영 항공대 교수는 “항공기에 대한 GPS 교란은 군함이나 화물선, 통신사 기지국 등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5-04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