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당·청 갈등 책임 떠안고 활로 모색

靑, 당·청 갈등 책임 떠안고 활로 모색

이지운 기자
입력 2015-05-19 00:08
업데이트 2015-05-19 03: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윤선 정무수석 전격 사임 왜

조윤선 청와대 정무수석이 공무원연금 개혁 무산에 대한 책임을 지고 18일 사퇴하자 새누리당이 화들짝 놀라는 반응을 보인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날 광주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회선진화법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인데 정무수석이 그걸 무슨 힘으로 막을 수 있느냐”고 정색하며 말했다. 유승민 원내대표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퇴 배경이나 이런 것은 전혀 모른다”면서도 “하여튼 조 수석이 책임질 일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지난 주말 고위 당·정·청 회동에서도 정무수석의 사퇴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오간 적이 없다”고들 한다.

새누리당은 당의 압박으로 정무수석이 경질되는 듯한 모양새가 될까 염려하는 눈치다. 당 대표와 원내대표의 ‘적극적인’ 반응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 듯 보인다. 앞서 이런저런 일로 당·청 간 갈등이 부각되고 있던 터였다.

여권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종합할 때 조 수석의 사의 표명까지는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한 듯 보인다. 우선 청와대로서는 공무원연금 개혁안이 삐걱거린 뒤 사안의 막중함을 감안할 때 누군가는 책임지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봤고, 그럴 바에는 책임을 당에 미루기보다 청와대가 떠안는 방식이 모양새가 좋겠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나아가 정무수석 사퇴를 여야에 전향적인 합의를 촉구하는 계기로 삼으려 한 듯 보인다. 조 수석은 ‘사퇴의 변’을 통해 정치권과 국민들에게 연금 개혁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조 수석의 사의는 국회에서 공무원연금 개혁안이 반드시 처리돼야 한다는 충정의 표현일 것”이라고 평했다.

동시에 조 수석의 사퇴는 누적된 당·청 갈등을 털고 새로 시작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기회일 수도 있다. 새누리당에서는 “협상 과정에서 여당과 불편한 점도 있었고, 또 야당은 청와대가 사실상 협상을 결렬시켰다고 비판하는 상황에서 청와대가 뭔가 활로를 찾으려 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5-05-19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