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만에… 리커창도 방한 가능성 높아
사드로 촉발된 中 보복조치 해소 관측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3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하고 있다. 2019.12.23 연합뉴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구체적 시기 등은 최종 조율을 거쳐야 하지만 확정적이라고 봐도 된다”고 했다. 중국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정치협상회의)가 해마다 3월에 열리는 만큼 그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3일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에게 가급적 가까운 시기 방한을 요청했고, 시 주석은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다. 시 주석의 방한은 2017년 12월 문 대통령의 국빈 방문에 대한 답방 성격이다. 그의 방한은 2014년 7월이 마지막이다.
청와대는 아울러 내년 한국에서 열리는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리커창 국무원 총리가 방문할 가능성이 크게 열려 있다고 밝혔다.
시 주석의 방한과 맞물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로 촉발된 중국의 보복 조치(한한령) 등 양국 갈등이 오롯이 회복되는 원년이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양국은 2017년 10월 ‘모든 교류 협력을 정상 궤도로 조속히 회복한다’는 공동 발표로 사드 갈등을 ‘봉인’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9-12-2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