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 사태’ 마침표 찍은 김경욱 노조위원장
김경욱 노조위원장
●지도부 퇴사… 2000여명 고용보장
파업이 끝날 수 있었던 데에는 노조 지도부의 희생이 컸다. 이랜드 노조는 지난 10월부터 홈에버를 인수한 삼성테스코(홈플러스)와 네 차례에 걸친 교섭을 진행하며 김 위원장을 포함해 지도부 10여명이 자진 퇴사하는 대신 비정규직 노동자 2000여명의 고용보장을 얻어냈다고 전해진다.
김 위원장은 “87%라는 숫자가 보여주듯 하루빨리 파업이 끝나길 바라는 조합원들의 열망이 컸다. 다만 지도부를 걱정하느라 눈물을 흘리는 조합원들도 있었다.”며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1000일이 넘은 기륭전자의 사례도 있지만,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이 500일이나 지속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1년이 넘게 성공적으로 노조를 이끈 ‘지도력’의 비결이 뭐냐고 물었더니,“아줌마 조합원들의 분노”라는 다소 엉뚱한 대답이 돌아왔다.“500일 파업의 원동력은 분노였다.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아무 이유도 없이 해고됐다. 아무리 하층 노동자라지만 쓰레기 취급당하면서 멀쩡할 순 없었다.”
●“너무 힘들어 도망치고 싶은 적 많아”
옳다고 생각해 시작했지만, 질 것이 뻔한 싸움은 역시 힘들었다. 김 위원장은 “도망치고 싶은 적이 많았다. 평조합원이었으면 하고 바랐던 것도 수십번이었다.”고 했다. 특히 지난 1월 두 아들이 아프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김 위원장은 죄책감에 짓눌렸다.“바쁘다는 핑계로 애들을 못돌봐줘서 그렇게 된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옆에서 라면을 오물오물 먹고 있는 아들을 보며 김 위원장은 “앞으로는 아이들 치료에 전념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08-11-1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