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사전의 위기] ‘국어연구 보루’ 民·官·學 공동노력 필요

[종이사전의 위기] ‘국어연구 보루’ 民·官·學 공동노력 필요

입력 2010-02-16 00:00
수정 2010-02-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문가가 말하는 해법

사전은 모국어 연구의 보루 역할을 하는 공공재(公共財)인가. 아니면 단지 민간 출판사가 내는 수많은 출판물들 중의 하나인가. 전자(前者)를 짚었다면 위기에 빠진 사전을 구하기 위해 여러 주체들의 힘과 지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민간 출판사만이 아닌 정부, 대학 등 공공기관, 학술단체 등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 출판사의 사전팀 관계자는 “수익성 등 경영 논리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업 출판사에만 사전의 존립 자체를 맡겨놓아서는 안된다.”면서 “교육 정책 또는 교과 과정으로 사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정부가 신경 써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전찾기’ 등 교과과정 확대를

해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출판사가 만드는 여러 사전 가운데 초등학생용 국어사전은 꾸준히 팔리는 편이다. 이유있는 현상이다. 초등학교 4학년 교과 과정에서 ‘사전 찾기’ 내용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에서 교과 과정 개편 등 정책적으로 사전의 쓰임을 널리 확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한 사례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은 17년의 준비·제작 기간을 거쳐 지난해 국어대사전을 펴냈다. 38만개가 넘는 표제어를 담고 있다. 사전학 연구 등을 꾸준히 펼치고 있는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역시 겨레말대사전 편찬작업을 한창 진행하고 있다. 이제는 정부가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는 얘기다.

희망적인 움직임이 엿보이긴 하다. 국립국어원은 다음달부터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을 만드는 작업을 시작한다. 웹 사전 형식이면서 이용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일종의 ‘한국어 위키피디아’ 성격을 띨 전망이다. 100만개 어휘를 담겠다는 계획이며 일단 전문가들에게 공개한 뒤 2012년까지 마무리짓고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사전학과 개설-전문인력 양성 시급

전문가들은 대학 학부나 학과과정에 사전학과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금은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 실용적이고 전문적인 학과가 활발히 신설되고 있음에도 사전학은 이 같은 추세에서도 철저히 외면받고 있는 것이다. 이는 고스란히 전문 인력 부족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대학의 관심과 정부의 지원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두산동아 관계자는 “출판사들이 사전 제작을 떠맡기에는 부담이 커지고 있다.”면서 “출판사들도 점차 사전 제작을 외면하면서 전문인력 숫자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는 만큼 사전학과 개설 등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록삼 이경원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2-1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