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는 한국땅’…19세기 일본 지도 공개

‘독도는 한국땅’…19세기 일본 지도 공개

입력 2010-02-17 00:00
업데이트 2010-02-17 16: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동북아역사재단은 동해ㆍ독도 관련 국내외 지도 40점을 다음달 2~9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하는 ‘동해ㆍ독도 고지도 전시회’에서 선보인다. 1744년 영국 지도학자 에마뉴엘 보웬이 만든 지도에는 ‘동해(EASTERN SEA)’라는 표기를 찾을 수 있다.  연합뉴스
동북아역사재단은 동해ㆍ독도 관련 국내외 지도 40점을 다음달 2~9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하는 ‘동해ㆍ독도 고지도 전시회’에서 선보인다. 1744년 영국 지도학자 에마뉴엘 보웬이 만든 지도에는 ‘동해(EASTERN SEA)’라는 표기를 찾을 수 있다.
연합뉴스
독도를 시마네현에 편입시킨 1905년 이전에도 독도를 영유했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을 부정하는 일본 지도가 여러 장 발견됐다.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는 17일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일본에서 입수한 여러 장의 일본 지도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미지 확대
동북아역사재단은 동해ㆍ독도 관련 국내외 지도 40점을 다음달 2~9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하는 ‘동해ㆍ독도 고지도 전시회’에서 선보인다. 프랑스의 왕실지리학자 질 로베르 드 보곤디는 1750년 ‘일본왕국도’에서 한국 연안은 ‘한국해(MER DE COREE)’로 일본 연안은 ‘일본해(MER DU JAPON)’로 함께 표기했다. 연합뉴스
동북아역사재단은 동해ㆍ독도 관련 국내외 지도 40점을 다음달 2~9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하는 ‘동해ㆍ독도 고지도 전시회’에서 선보인다. 프랑스의 왕실지리학자 질 로베르 드 보곤디는 1750년 ‘일본왕국도’에서 한국 연안은 ‘한국해(MER DE COREE)’로 일본 연안은 ‘일본해(MER DU JAPON)’로 함께 표기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동북아역사재단은 동해ㆍ독도 관련 국내외 지도 40점을 다음달 2~9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하는 ‘동해ㆍ독도 고지도 전시회’에서 선보인다. 프랑스 군지도제작소가 제작한 강릉 지도에는 러시아, 프랑스, 영국에서 사용된 독도 지명을 함께 표기했다.  연합뉴스
동북아역사재단은 동해ㆍ독도 관련 국내외 지도 40점을 다음달 2~9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하는 ‘동해ㆍ독도 고지도 전시회’에서 선보인다. 프랑스 군지도제작소가 제작한 강릉 지도에는 러시아, 프랑스, 영국에서 사용된 독도 지명을 함께 표기했다.
연합뉴스


 그가 입수한 ‘대일본전도(大日本全圖)’는 일본 육군참모국이 1877년 제작한 것으로 일본의 영토 전체를 자세하게 나타냈지만 독도는 제외했다.

 또 1899년 일본 육지측량부는 당시 나온 모든 일본 지도를 참고하고 새롭게 측량해 20만분의 1 크기의 지도를 만들었지만,구역 일람표에는 독도가 나오지 않는다.

 호사카 교수는 “이 지도를 보면 1905년 이전에도 독도를 영유했다고 하는 일본 정부의 주장은 허위라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호사카 교수가 공개한 ‘관허대일본사신전도(官許大日本四神全圖)’는 지도제작자 하시모토 교큐란사이가 1868년 일본 정부의 허가를 얻어 제작한 것으로 한국의 동해안을 따라 ‘조선해(朝鮮海)’,일본 본토의 서측에는 ‘일본서해(日本西海)’로 표기했다.

 그는 일본에서 ‘일본해’라는 명칭이 정착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고 동해 해역의 명칭을 병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호사카 교수 소장 지도와 재단이 지난해 구입한 동해·독도 관련 지도 등 40점을 다음달 2~9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하는 ‘동해·독도 고지도 전시회’에서 선보인다.

 이 가운데 10점은 국내에 처음으로 공개된다.영국의 지리학자 존 세넥스가 1721년 제작한 인도·중국 지도와 1744년 영국 지도학자 에마뉴엘 보웬이 만든 지도에는 ‘동해(EASTERN SEA)’라는 표기를 찾을 수 있다.
이미지 확대
동북아역사재단은 동해ㆍ독도 관련 국내외 지도 40점을 다음달 2~9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하는 ‘동해ㆍ독도 고지도 전시회’에서 선보인다. 프랑스의 왕실지리학자 질 로베르 드 보곤디는 1750년 ‘일본왕국도’에서 한국 연안은 ‘한국해(MER DE COREE)’로 일본 연안은 ‘일본해(MER DU JAPON)’로 함께 표기했다. 연합뉴스
동북아역사재단은 동해ㆍ독도 관련 국내외 지도 40점을 다음달 2~9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하는 ‘동해ㆍ독도 고지도 전시회’에서 선보인다. 프랑스의 왕실지리학자 질 로베르 드 보곤디는 1750년 ‘일본왕국도’에서 한국 연안은 ‘한국해(MER DE COREE)’로 일본 연안은 ‘일본해(MER DU JAPON)’로 함께 표기했다.
연합뉴스


 프랑스의 왕실지리학자 질 로베르 드 보곤디는 1750년 ‘일본왕국도’에서 한국 연안은 ‘한국해(MER DE COREE)’로 일본 연안은 ‘일본해(MER DU JAPON)’로 함께 표기했다.

 프랑스 왕실지리학자 당빌이 1737년 제작한 ‘조선왕국전도’에는 울릉도와 독도가 중국어 발음으로 표시돼 있다.

 신길수 동북아역사재단 국제표기명칭대사는 “서양 고지도에 ‘동해(Eastern Sea)’라고 나오는 것은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이라는 뜻으로 단순히 한반도의 동쪽이란 뜻을 넘어 세계적 차원에서 동쪽에 있는 바다라는 개념”이라면서 “‘동해(Eastern Sea)’라고 표기하다 한국을 인식하면서 ‘한국해(Sea of Korea)’를 사용했다.이후 ‘일본해(Sea of Japan)’ 명칭도 나타났다가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일본해’라는 이름이 세계적으로 정착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동북아역사재단은 이날 간담회에서 고지도 전시회 외에도 올해의 여러 주요 사업을 소개했다.

 재단은 일본의 한국강제병합 100년을 재조명하기 위해 8월 24~26일에는 이태진(서울대),와다 하루키(도쿄대) 등 한국과 일본,중국 등지의 연구자를 초청해 ‘1910년 한국강제병합,그 역사와 과제’라는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한다.7월에는 병합 과정의 불법성을 규명하기 위한 조약자료집도 발간한다.

 한국전쟁 발발 60주년을 맞아 6월에는 한국전쟁이 한반도와 동아시아 평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피는 국제학술회의를 연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