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노트’ 위력… 학력미달 0

‘꿈의 노트’ 위력… 학력미달 0

입력 2010-03-04 00:00
업데이트 2010-03-04 0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업성취도 껑충 완도 고금고의 비결

이미지 확대
“꿈을 갖도록 했습니다.” 전남 완도 고금고 양인(55) 교무부장은 “결국 꿈을 갖게 만든 것이 목표의식이 없던 아이들을 변화시켰다.”고 말했다. 고금고는 3일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학업성취도평가에서 기초학력미달학생이 ‘제로(0)’인 학교로 등장했다. 1학년생(현재 2학년생) 전체 16명이 지난해 10월 실시한 학업성취도평가(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에서 국가교육과정 이수 정상권에 든 것이다. 2008년도 평가에서는 26명 중 17명이 기초학력미달자였다. 고금고는 완도에서 배를 타고 15분 정도 들어가는 고금도에 있다. 고금중에서 전교 13등했던 학생이 고금고에 1등으로 입학할 만큼 학업 성취도는 낮았다. 작은 섬이다 보니 중학교를 졸업하면 대부분 해남고나 장흥고로 빠져나간다. 고금고는 그야말로 폐교 위기에 처한 시골의 비인기학교였다. 양 부장은 “공부 좀 하는 학생들은 중학교를 졸업하면 해남, 강진, 광주 등 외지 고교로 나간다.”면서 지역에서조차 관심을 두지 않는 ‘별 볼일 없는 학교’였음을 털어놓았다. “그래서 인생목표는 물론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조차 몰랐던 아이들이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1~2학년생에게 쓰도록 한 ‘행복한 학교생활 길잡이’라는 한 권의 노트가 아이들을 달라지게 했다. 3학년생들은 ‘수능일기’를 쓴다.

이 노트는 학생들이 연간, 월간, 하루의 목표를 세우고 실천한 것을 기록하는 노트다. 달라지는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보고 가슴으로 느끼도록 한 것이다. 담임 선생님은 일주일에 1~2회 노트를 검토하고 학생들을 맞춤형으로 지도했다. 고금고는 학생들의 동기유발을 위해 ‘당근책’도 도입했다. 시험성적이 조금이라도 향상된 학생에게는 2만원어치의 문화상품권을 줬다. 여러 과목이 향상됐거나 5등 이상 등수가 올라간 학생에게는 5만원어치를 상품으로 줬다. 최고 25만원어치를 받은 학생도 있다.

하지만 학생들을 변화시킨 것은 이런 물질이 전부가 아니었다. 양 부장은 “이곳에는 고등학생이 갈 만한 학원이 한 군데도 없다.”고 말했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다니는 학원 한 곳이 있을 뿐이다. 그래서 사교육은 꿈도 못 꾸고 갈 데도 없다는 것이다. 학원을 가려면 버스를 타고 강진까지 나가야 한다. 결국 교사들이 달라붙었다. 전체 9명의 교사들은 학생들을 매일 밤 10~11시까지 지도했다.

오후 5시 정규 수업이 끝나면 방과 후 학습(보충수업)을 실시했다. 교사들이 과목별로 직접 문제를 뽑아 학생들에게 나눠준 뒤 풀어주었다. ‘무료 과외수업’이나 마찬가지였다. 이 학교 교사들은 모두 학교 옆 관사에서 생활한다. 방 한칸, 부억 하나, 화장실 하나 딸린 연립주택에서 혼자 생활하고 있다.

강원배 교장은 “이 시골 촌구석에서 학생들에게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인생의 목표를 갖도록 해 준 것이 우수학교가 될 수 있었던 가장 큰 비결”이라며 활짝 웃었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0-03-04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