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어뢰 공격 가능성”…C자형 절단이 단서?

“北 어뢰 공격 가능성”…C자형 절단이 단서?

입력 2010-04-03 00:00
업데이트 2010-04-03 0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태영 국방부 장관이 2일 국회 본회의에서 천안함 침몰 원인으로 어뢰 공격 가능성을 언급, 파장이 일고 있다.

 어뢰 공격의 주체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결국은 북한 잠수정을 연상할 수 밖에 없다. 이는 전날 국방부가 천안함 침몰에 대한 언론의 의혹에 대한 해명자료에서 잠수정에 대한 정황이 나타나지 않았다면서 북한군의 어뢰 공격설을 배제하려 한 점과 배치된다.

 김 장관은 국회 긴급 현안질문에서 모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도 천안함이 두 동강 나면서 발생한 폭발음을 근거로 어뢰 폭발에 무게를 실었다. 열상관측장비(TOD) 녹화자료에 나온 천안함의 ‘C자형’ 절단면에 대해 김 장관은 “어뢰공격의 경우 타깃에 바로 맞히는 방법이 있고 함정 밑에서 폭발해 버블제트로 허리를 분지르는 경우가 있다.”면서 “거기에서 보이는 것은 직격한 경우에 나올 수 있는 사진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침몰 당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탐지한 진도 1.4~1.5 지진파가 TNT 170~180㎏의 폭발력인데 북한의 어뢰가 대략 그런 범위에 들어간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북한은 선체 밑 해저에서 폭발해 버블효과를 일으키며 선체를 밀어올리는 ‘버블제트’ 어뢰를 개발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70t 규모로 소형인 북한의 유고급 잠수정은 수심 30m에서도 작전이 가능하며 구경 406㎜ 경어뢰 2발을 탑재하고 발사할 수 있다. 1998년 동해안에 몰래 침투했다가 속초 앞바다에서 꽁치 그물에 걸려 잡힌 적이 있다. 길이 7m가량으로 사거리 8~13㎞인 경어뢰의 탄두는 180㎏ 안팎이지만 1200t급 초계함의 해저에서 터지면 두 동강 낼 수 있다는 평가다.

 김 장관의 설명대로 어뢰가 함정 아랫부분을 타격했다면 절단면 부분에, 선체 아래 해저에서 폭발했다면 바다 밑에 일부 파편이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김 장관은 생존 승조원 중 소나(음파탐지)병이 어뢰가 접근하는 소리를 듣지 못했다는 증언이 있는 상황에서 어떤 가능성도 다 열어 놓고 봐야 한다고 발언 수위를 조절하기도 했다. 김 장관은 특히 “기지에서부터 백령도까지 거리가 상당히 멀고 잠수정의 속도가 느릴 수밖에 없다는 제한성으로 볼 때 북한 잠수정의 연관성은 약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어뢰 공격으로 본다면서도 북한군 개입 가능성은 낮다는 모순된 말을 한 셈이다.

 일각에서는 김 장관의 이 같은 발언 태도가 어뢰 등 외부 공격을 원인으로 보고 있는 보수층에 대한 일종의 ‘기분 맞추기식’ 답변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김 장관은 지난 1월에도 한 강연에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관련, “전작권 전환 시기는 가장 좋지 않은 때에 이뤄진다.”면서 전작권 전환이 부적절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었다. 그래놓고는 한달 뒤 다른 강연에서는 “전작권 전환은 국가 대 국가간의 약속”이라며 말을 거둬들인 바 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