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함미인양 이후] 함수 눕혀 올리면 연료탱크 파손

[천안함 함미인양 이후] 함수 눕혀 올리면 연료탱크 파손

입력 2010-04-21 00:00
업데이트 2010-04-21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0도 기운 인양 왜 어렵나

갈 길 바쁜 천안함 함수 인양작업이 궂은 날씨로 차질을 빚고 있다.

지난 18일 함수를 인양하기 위해 연결해 놓은 세 번째 체인이 높은 파도로 끊어지는가 하면 연일 높은 파도에 비까지 내려 인양작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 20일에도 오전까지 비가 내리며 2m 이상의 높은 파도가 이어졌다.
이미지 확대


군 당국은 함수 인양을 당초 예정된 24일보다 2∼3일 앞당기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함미가 예상보다 이른 시점인 지난 15일 인양된 이후 고무된 분위기를 계속 이어 가겠다는 의도였다. 이날 오후 파도가 잦아들면서 인양작업이 재개돼 세 번째 체인을 다시 연결하는 작업이 진행됐다.

하지만 21일부터 파고가 1∼2m로 다시 높아지고, 22일과 23일에는 3m 안팎의 높은 파도가 일 것으로 기상대가 예측하고 있어 인양작업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 “아들아 왜 기름범벅이 됐니” 시신 수습 그뒤…

☞[포토]천안함 침몰부터 인양까지

기상악화로 조기 인양은커녕 함수 인양이 이번 주말 이후로 미뤄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함수가 가라앉은 해저에 암반이 많은 데다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것도 조기 인양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 박성우 공보실장은 “백령도 인근 날씨가 이틀은 좋았다가 사흘은 흐리다.”면서 “날씨가 인양작업의 관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해저에 90도로 기울여진 상태로 누워 있는 함수는 함미와 달리 선체에 함교 등이 있는데, 이것이 인양작업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기울어진 선체를 그대로 인양할 경우 천안함 상부가 약해 육중한 체인에 직접 닿는 부위인 갑판이나 함교 등이 손상될 가능성이 크다. 연료탱크 파손으로 인한 기름유출 가능성도 있다. 누운 함수를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하더라도 바지선 거치대에 올리는 작업도 간단치 않다.

그래서 군은 일단 선체를 바로세우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선체를 누운 상태에서 바지선에 올리는 것보다 바로 세운 후 올리는 것이 훨씬 수월하기 때문이다.

군은 현재 3번째, 4번째 체인 연결이 완료되면 선체를 살짝 들어 바로 세운 후 인양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 작업 중에도 균형을 잡지 못하고 선체가 쓰러질 경우 우여곡절 끝에 연결한 체인들이 끊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한편 민·군 합동조사단은 경기도 평택 2함대사령부로 옮겨진 함미를 육상 거치대로 옮기는 작업을 완료했으며 절단면에 대해 입체(3D)영상을 촬영하는 등 정밀조사에 본격 착수했다.

국방부 원태재 대변인은 “함수 인양과 잔해물 수거 후에 최종적인 원인 규명이 가능하다.”면서 “북한 연관성은 아직 결정적으로 주장할 만한 근거가 없다.”고 했다.

이어 원 대변인은 미국, 호주 등과 함께 합동조사단에 참여하기로 했던 스웨덴과 영국은 아이슬란드 화산폭발로 공항이 폐쇄돼 현재까지 오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 호주 등과 조사단의 비용 문제를 포함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학준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04-21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