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이례적 신속대응…사태 조기진화 의지

검찰, 이례적 신속대응…사태 조기진화 의지

입력 2010-04-21 00:00
업데이트 2010-04-21 1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부인사 참여 진상규명위로 공정성 논란 불식

대검찰청이 21일 ‘검사 향응·성접대 의혹’ 파문과 관련해 외부인사가 참여하는 진상규명위원회 구성이라는 신속한 대응방안을 내놓은 것은 이번 사태를 최대한 조기에 수습하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으로 읽힌다.

 자칫 시간을 끌다 여론을 악화시키기보다는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절처하고 공정한 조사로 의혹을 규명함으로써 오해를 불식시키고 실추된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것이다.

 대검찰청은 MBC PD수첩의 보도가 있은지 몇시간만인 이날 오전 김준규 검찰총장 주재로 비상간부회의를 소집,국민의 신망이 두터운 외부인사(민간인)를 위원장으로 위촉하고 위원회 3분의 2 이상을 민간인으로 하는 진상규명위를 구성하는 방안을 내놨다.

 진상규명위 산하에 채동욱 대전고검장을 단장으로 하는 진상조사단을 꾸려 고강도 감찰조사를 벌인 뒤 사실로 확인되면 엄중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셈이다.

 불필요한 의혹과 파문이 계속 확산되는 것을 조기에 차단하겠다는 뜻으로,과거의 경우와 비교하면 이례적으로 신속한 대처라는 게 검찰 주변의 평가다.

 대검의 이런 움직임은 사태의 진원지인 부산지검이 PD수첩의 보도 직후 “신뢰성없는 일방적 주장”일 뿐이란 반박성명을 내는 등 진상규명보다는 혐의를 부인하는데 주력했던 것과 대비된다.

 이는 2007년 김용철 변호사의 ‘떡값 검사’ 리스트로 불거진 삼성그룹 비리 의혹 때와 같은 불행한 전철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당시 ‘떡값 리스트’에는 임채진 검찰총장 내정자와 이귀남 대검 중수부장(현 법무부 장관) 등 검찰 고위간부가 포함돼 있어 조사의 공정성 시비가 문제가 됐다.

 검찰은 박한철 당시 울산지검장을 본부장으로 한 삼성비자금 특별감찰·수사본부를 구성했지만,정치권에서 진상조사의 공정성을 문제삼으면서 ‘삼성특별검사팀’이 발족되는 바람에 검찰이 자체적으로 구성한 특별감찰·수사본부는 활동을 접어야만 했다.

 검찰이 이번에 외부인사를 대거 포함시키기로 한 것은 그때의 아픈 기억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이지만,결국은 당시와 비슷한 수순을 밟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천성관 전 검찰총장 후보자가 ‘스폰서 검사’ 문제로 중도낙마한 기억이 아직 남아 있는데다 최근 한명숙 전 총리 수뢰사건 무죄 선고 이후 검찰에 대한 야권의 공세가 강화된 점을 감안하면 검찰이 다시 한번 뼈아픈 굴욕을 당할 수도 있다는 시각이다.

 이날 대검찰청과 부산지검 웹사이트는 시민들의 비난성 댓글이 쇄도하면서 접속이 일시 중단되는 사태를 빚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