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로실 부근서 최초폭발”

“자이로실 부근서 최초폭발”

입력 2010-04-24 00:00
업데이트 2010-04-24 15: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당국은 24일 박성균 하사의 시신이 발견된 천안함 함수 지하 2층의 자이로실 인근에서 처음 폭발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미지 확대
(백령도=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침몰한 천안함의 함수인양 작업이 진행된 24일 백령도 사고해역에서 처참히 찢겨진 천안함의 함수와 뜯겨져 나온 연돌이 바지선에 놓여 있다.
(백령도=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침몰한 천안함의 함수인양 작업이 진행된 24일 백령도 사고해역에서 처참히 찢겨진 천안함의 함수와 뜯겨져 나온 연돌이 바지선에 놓여 있다.


☞[사진] ‘그날’이 떠올랐다…천안함 함수 인양







☞[천안함 순직 실종자 명단]당신들을 잊지 않겠습니다



☞[사진] 천안함 영웅들을 가슴에 묻고 하늘로 올려보냈다

 군 관계자는 이날 “자이로실은 최초 폭발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지점에서 5~10m 반경으로 추정된다”며 “연돌(연통)까지 사라진 상황에서 자이로실은 이미 파공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자이로실은 원래 배수 계획이 없었다”면서 “지하 1층만 600여t의 배수작업을 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는데 자이로실이 자연 배수된 것으로 볼 때 최초 침수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자이로실은 해수와 가장 먼저 마주치는 격실이기 때문에 물하고 직접 만나는 지점이다.폭발 당시 박 하사도 불가항력적이었을 것”이라며 “생존자들은 자기들이 최초 탐색할 때 탐색이 가능한 곳만 탐색했기 때문에 자이로실까지는 가지 못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군 관계자는 “확인 결과 (사고 당일) 박 하사가 안전 당직 근무였다”며 “안전 당직자의 임무는 함수서 함미까지 평소 대원들이 근무하지 않거나 주의할 사각지대,자주 가지 않는 곳을 한 시간에 한 번씩 지속적으로 순찰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