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 공포’…고교서 중간고사 답안지 증발해 ‘추가시험’

‘학원 공포’…고교서 중간고사 답안지 증발해 ‘추가시험’

입력 2010-05-14 00:00
수정 2010-05-14 09: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기도 수원의 한 고등학교에서 중간고사를 치른 학생들의 일부 답안지가 사라져 추가시험을 치르는 소동이 빚어졌다.

 14일 수원 A고교에 따르면 지난 1일 2교시에 영어시험을 치른 3학년 학생 중 21명의 답안지가 교무실에서 사라져 이들 학생에 한해 다음 달 추가시험을 치르기로 했다.

 1.3학년생이 반반씩 섞여 한 교실에서 치른 영어시험에서 1학년18반 시험감독이었던 B교사는 시험이 끝난 뒤 1.3학년 답안지를 1학년 영어교사 C교사의 책상에 올려놓았다.

 그러나 나중에 C교사가 답안지를 확인하던 중 3학년 21명의 답안지가 없어진 사실을 발견하고 교직원 전체가 답안지 확인에 나섰지만 끝내 찾지 못했다.

 학교 측은 지난 6일 성적관리위원회를 열어 서술형 수행평가일인 다음달 4일 추가시험을 치르기로 결정했다.

 학교는 이 같은 사실을 도교육청에 보고하지 않아 사건축소 의혹을 사고 있는 가운데 일부 학부모가 추가시험 부담과 성적 하락을 우려해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고 관계자는 “1.3학년이 같은 교실에서 시험을 치른 뒤 1.3학년 답안지를 분리해 학년 담당교사에게 전달해야 하는데 시험감독 교사가 실수로 3학년 답안지까지 1학년 교사에게 전달하면서 벌어진 일”이라며 “해당 학생에 한해 추가시험을 치러 인정점수와 합산할 방침이기 때문에 피해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4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