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떨게 만든 ‘환불남’

삼성·LG 떨게 만든 ‘환불남’

입력 2010-07-09 00:00
수정 2010-07-09 0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파워 소비자’ vs ‘파파라치’ 평가 엇갈려

이미지 확대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을 상대로 소비자 권리를 주장하는 이른바 ‘환불남’ 이 등장했다. 그는 여러 차례 구입한 제품을 환불받거나 교환했다.

A씨의 이런 행동에 대해 네티즌들이 엇갈린 평가를 내놓으며 맞붙어 화제다. 8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A씨는 최근 사용 중인 휴대전화가 갑자기 폭발했다고 항의해 삼성전자로부터 합의금을 받아냈다. 그는 LG전자를 상대로도 ‘제대로 된 애프터서비스(AS)를 요구하는 인터넷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또 LG전자 사옥 앞에서 1인 시위를 전개한 적도 있다.

A씨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휴대전화와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문제점을 제기해 각각 3차례와 2차례씩 환불 및 제품 교환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대기업을 상대로 소비자의 권리를 당당하게 주장하는 파워 소비자”라고 말하는가 하면 “인터넷 여론에 민감한 대기업의 현실과 법 규정의 허점을 이용한 파파라치”라고 맞서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 관계자는 “A씨가 폭발했다고 주장한 휴대전화는 정부인증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 사고 원인분석을 의뢰한 결과 제품 결함이 아닌 외부적 발화로 결론이 내려졌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A씨를 상대로 법적 대응 절차를 밟기로 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10-07-0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