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추가등록의 진실
“주식 시장으로 말하자면 프로그램 매매와 같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뒤 수험생들이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지를 묻자, 한 입시 전문가는 이렇게 말했다. 수시 전형에 비해 기계적으로 학생을 뽑는 정시의 특성을 이렇게 빗댄 것이다. 대학 별로 다양해진 전형 기준에 맞춰 학생들 자신이 갖고 있는 학교생활기록부 성적·수능 성적 등을 토대로 정시에 지원하려는 학생들이라면 참고해야 할 조언이다. 그렇다면 이제 수험생이 갖춰야 할 덕목은 정보력. 서울신문은 2011학년도 대입 전형의 남은 기간 동안 ‘입시는 정보전이다’ 코너를 통해 대입에 중요한 길라잡이가 될만 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다음 날인 19일 오전 서울 필운동 배화여고 고3교실에서 학생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가채점을 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1/19/SSI_20101119184155.jpg)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다음 날인 19일 오전 서울 필운동 배화여고 고3교실에서 학생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가채점을 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1/19/SSI_20101119184155.jpg)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다음 날인 19일 오전 서울 필운동 배화여고 고3교실에서 학생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가채점을 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1/20/SSI_20101120015153.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1/20/SSI_20101120015153.jpg)
이렇게 되면 해당 대학·학과의 경쟁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가군과 나군 가운데 가고싶은 대학을 선정한 뒤 나군과 다군에 안정적인 지원을 하는 수험생의 몫이 더해지기 때문이다. 이런 수험생은 결국 추가모집 기간 동안 나군과 다군 대학에서 이탈하게 된다. 높은 경쟁률에 현혹되지 않고, 나군과 다군에서 소신 지원을 한다면 대학 입학식인 3월2일 직전에 합격 통보를 받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유웨이중앙교육은 지난해 주요대 정시 최종 추가합격 현황을 정리했다. 가군 모집대학인 고려대 경영대의 경우 3차까지 추가합격 인원은 115명인데, 이는 많은 수가 나군의 서울대로 빠져 나갔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숙명여대 언론정보학부의 경우 가·나·다군으로 나눠서 신입생을 선발하는데, 나군 추가합격생이 6명이고 다군 추가합격생은 93명이었다. 같은 학과임에도 가·나·다군 별로 지원기준이 다르고 입학 뒤 혜택이 달라지는 등 조건의 차이가 추가합격자 숫자에 반영이 되어 있는 것이다. 이제 수험생들은 정보와의 싸움에 나서야 한다. 같은 성적이라면 정보력에서 앞선 학생이 더 나은 결과를 얻게 된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11-2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