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채점에 분주한 고3교실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다음 날인 19일 고3 교실은 침울한 표정이 역력했다. 상·중·하위권 성적이 모두 모의고사보다 떨어졌고, 하위권으로 갈수록 떨어진 폭도 컸다.오전 등교한 학생들은 저마다 답을 맞춰보고 등급을 매기느라 분주했다. 서울 목동 강서고 김동원 교감 교사는 “지문이나 자료가 EBS에서 많이 나와 시험을 볼 때는 잘봤다고 느꼈지만, 막상 나와서 채점을 해보니 그렇지 않았다고들 한다.”면서 “한마디로 웃으면서 시험 보고 나와서 우는 격이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가채점을 해보니 예상보다 점수가 낮았다는 학생들이 많았다. 그나마 상위권 학생들은 점수가 일부 떨어졌지만 그만큼 등급 커트라인이 낮아져 안심하는 모습이었다.
상위권에 속하는 박관현(18)군은 “이번 수능이 쉬울 거라고 해서 긴장을 풀고 있었는데 시험지를 받아들고 당황했다.”면서 “가채점 해보니 1등급 커트라인이 9월 모의고사나 작년 수능보다 낮아져 등급은 겨우 유지할 것 같다.”고 말했다. 사직동 배화여고도 비슷한 분위기. 이 학교 김예슬(18)양은 “언어와 외국어에서 점수가 떨어졌지만 과탐에서 어느 정도 만회해 9월 모의고사보다 조금 떨어진 수준이다.”면서 “평소 지망하는 이화여대 간호학과를 소신지원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중상위권, 중위권 학생들은 혼란스러워했다. 언어·수리·외국어 등 대부분 영역에서 점수가 많이 떨어진 탓이다. 전영우(18)군은 “수리가 특히 어려워 모의고사보다 원점수가 떨어졌다.”면서 “아직 등급을 몰라 어떻게 지원해야할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최형원(18)양은 “외국어는 10점 가량 올랐지만 언어와 수리가 떨어졌다.”면서 “대학보다는 원하는 과에 맞춰서 안정지원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
일반적으로 점수 하락폭이 크면 재수를 하는 경향과 달리 올해는 인문계의 경우 재수를 기피하겠다는 학생들이 많았다. 내년부터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인문계 학생들도 수리영역에 미적분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김동원 교사는 “문과 학생들은 어떻게해서라도 재수를 하지 않으려고 할 것이다.”면서 “중하위권 학생들 진학지도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연계 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언어·외국어가 많이 떨어진 만큼 재수를 고려하겠다는 학생들도 있었다. 여모(18)양은 “수리는 평소대로 나왔는데 외국어와 언어에서 30점 가량 떨어져서 재수를 생각중이다.”고 말했다.
이민영·윤샘이나기자 min@seoul.co.kr
2010-11-2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