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사태 이틀째…안동서 살처분 진행

구제역사태 이틀째…안동서 살처분 진행

입력 2010-11-30 00:00
수정 2010-11-30 1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북 안동에서 돼지 구제역이 판명난지 2일째를 맞아 현장에서는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한 살처분과 방역이 함께 진행됐다.

 30일 경북도에 따르면 전날부터 구제역 발생 농장으로부터 반경 3㎞ 내 위험지역의 모든 돼지,소 등 우제류 가축 2만3천여마리의 살처분을 실시해 현재까지 3천100여마리를 땅에 묻었고 나머지 2만마리를 살처분하고 있다.

 도는 현재 가축질병 관련 ‘주의’단계 경보를 내리고 공무원과 민간인 200여명과 굴착기,덤프트럭 등 10여대의 장비를 동원해 구제역 관련 살처분을 진행 중이다.

 도는 공동방제단을 구성해 구제역 발생농장을 비롯해 인근 축산농장에서 기르는 가축들에 대해 임상관찰과 소독 등 방역작업을 펼치고 있다.

 또 안동시 해당 농장에서 반경 20㎞ 이내 85개 장소에 이동 통제초소를 설치해 사람과 가축,차량 이동을 통제하고 있다.

 특히 지난 29일 구제역 판정을 받은 돼지 농가에서 8㎞ 정도 떨어진 농가의 한우 1마리가 구제역 의심증상을 보여 수의과학검역원 진단 결과를 기다리는 상황이다.

 도는 30일 오후 김관용 지사 주재로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한 가축방역협의회를 열어 대책을 논의하며 발생지역 3㎞ 이내 가축에 대한 살처분을 계속하기로 했다.

 장원혁 경북도 축산경영과장은 “구제역 발생지역에 대한 정밀 역학조사에서 발생원인을 철저히 가리겠다”며 “의심증상을 보인 한우의 진단 결과에 따라 사태가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