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김포·포천·연천 올 두 번째 ‘날벼락’

강화·김포·포천·연천 올 두 번째 ‘날벼락’

입력 2010-12-25 00:00
업데이트 2010-12-25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역 당국 패닉 속 동분서주

하루가 멀다 하고 구제역 확진 판정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29일 안동에서 처음 발생한 구제역은 당국의 방역망을 비웃기라도 하듯 시·도 경계를 뛰어넘으며 럭비공처럼 전국으로 튀고 있다.

인천 강화군과 경기 김포시와 포천시, 연천군 등 4개 시·군은 올 들어 벌써 두 번째 구제역이 발생했다. 같은 자리에 두번이나 날벼락이 떨어진 격. 지난 4~6월 구제역의 시발점이었던 강화와 김포는 불과 8개월여 만에 또 당했다.

이미지 확대


●종돈장 돼지 공급 루트 조사

지난 22일 김포 월곶면의 돼지 농가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양성으로 판명난 데 이어 24일에는 강화 양도면 돼지 농가에서 구제역이 확인됐다. 이들 농가는 14.8㎞ 떨어져 있다. 4월 구제역 당시 강화에서는 227개 농가의 소·돼지 등 3만 1345마리가 매몰 처분됐고 김포에서도 1개 농가의 소와 사슴 등 194마리가 살처분됐다. 축산 농가들은 물론 지역경제 역시 직격탄을 맞았다.

포천과 연천 역시 지난 1월에 5956마리가 살처분됐다. 지리적으로 외진 곳에 있어 다른 지자체로 확산되지는 않았지만 살처분 보상금 93억원을 비롯해 288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정확한 역학관계가 드러나지 않은 가운데 방역 당국은 일단 구제역 발생 농가와 인근 농장 가축들에 대해 살처분을 실시하고 방역망을 구축했다. 발생 농가는 물론 인접 지역과 연결된 주요 도로에 방역 초소를 설치해 이동 차량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고 추가 확산을 막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방역 당국은 위생·방역 관리가 어느 곳보다 엄격한 종돈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데 대해 우려를 감추지 않았다. 구제역의 잠복기는 최소 2일~최대 14일이다. 이미 종돈장에서 키워진 새끼 돼지들이 다른 양돈 농가에 팔려나갔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영천(종돈장)은 다른 일반 농가와는 경우가 다르다.”면서 “이곳은 위탁 판매 계약을 맺고 전국의 양돈 농가에 새끼 돼지를 키워 공급하는 곳인데 얼마나 많은 농가에 입식됐는지를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구제역이 전방위로 확산되면서 백신 접종 대상 지역도 더 늘어날 가능성이 커졌다.

확대한다면 1순위는 강원도 횡성 일대가 될 전망이다. 다만 강원도의 구제역 발생·의심 신고가 대부분 톨게이트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등 특이 양상을 보이고 있어 당국이 고심하고 있다.

●백신접종 확대 땐 횡성 1순위 될 듯

농식품부 관계자는 “통상 구제역은 한우 농가가 밀집한 지역에서 발생해 인근으로 퍼져나가는 양상인데 강원도에서는 톨케이트를 중심으로 고립된 농가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면서 “인구 이동이 많은 톨게이트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는 부정적 측면도 있지만 역학적 측면에서 볼 때 이는 국지적·산발적 발생인 만큼 오히려 피해를 줄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12-25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