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 비치니 블라인드 활짝 “실내 CO2양 늘자 환기 ‘ON’ “슈퍼단열… 난방 없이 야근”
인천 서구 경서동 국립환경과학원 내에 탄소 제로(Zero) 건물이 완공돼 22일 준공식을 갖는다. 대국민 홍보·교육에 활용되며 공식적으로 기후변화 연구동이란 이름도 붙여졌다. 준공에 앞서 과학원 이재범 연구사는 30여명의 연구원들과 함께 지난달부터 시설물 점검과 기기 작동 상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 이 건물에서 생활하고 있다. 벌써 한달 보름째다. 이 연구사의 하루 생활을 통해 탄소 제로 건물의 실상을 알아본다.이재범 연구사가 사무실 천장에 있는 조명은 자연광으로 옥상에서 반사경을 통해 실내까지 전달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출근하면서 제일 먼저 맞닥뜨리는 것은 연구실 전면에 설치된 전력 사용량 모니터다. 태양광 시스템으로 생산된 전력량은 468h, 우리가 사용한 전력량은 약 245h로 223h가 역전송됐음을 확인했다.
탄소 제로 건물 전경. 슈퍼 단열·창호 등 에너지 부하 저감 기술로 총에너지의 40%를 절감하고, 태양열·광, 지열을 활용한 기술로 탄소 배출량 60%를 줄여 탄소 배출 제로화를 만들었다.
탄소 제로 건물이 지어졌다는 소식에 방문객이 부쩍 늘었다. 오후에는 세종시 청사 이전을 앞두고 시설 관계자와 서울시 관계자들이 방문, 탄소 제로 배출 원리에 대해 브리핑했다. 탄소 제로 건물은 햇빛을 잘 받기 위해 남향으로 지어졌고, 단열을 강화하기 위해 지붕, 벽, 바닥에 125㎜ 단열재(일반 건물의 경우, 60~80㎜), 방습층 설치 등 3중 유리를 적용했다. 냉·난방은 태양열·지열로, 전력은 태양광으로 충당한다. 그러나 컴퓨터·복사기 등 사무용품에는 일반 전력도 함께 사용된다. 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다른 환경 수단으로 상쇄해서 연간 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유지시킨다는 개념이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과 절수 등 녹색생활 실천은 기본이다.
이 건물에서 줄일 수 있는 온실가스 잠재량은 연간 100t 정도다. 건축물 수명을 30년으로 가정하면 총 3000t이다. 이산화탄소 100t은 2000㏄ 승용차로 서울과 부산을 500회 왕복할 때 나오는 탄소량과 맞먹는다. 탄소 제로 건물에는 총 66가지 기술이 사용됐는데 순수 국내 기술 62종이 적용됐다. 방문객에 대한 브리핑을 마치고 다시 연구실로 들어왔다. 아침부터 켜 놓은 컴퓨터와 프린터 등에서 뿜어져 나오는 열기 때문인지 사무실 공기가 탁했다. 마침 이산화탄소량에 따라 작동되는 자동 환기 시스템이 가동됐다. 사무실은 신선한 외부 공기가 들어와 금세 쾌적한 분위기를 되찾았다.
건물 준공 업무로 밀려 있는 일을 처리하기 위해 요즘 야근이 잦아졌다. 예전 사무실에서는 야근 때 개별 난방기를 사용했지만 이곳은 슈퍼 단열·슈퍼 창호가 돼 있어 별도의 난방기가 필요없다. 업무를 마치고 퇴근 시간 최종 전력 사용량을 확인해 보니 최근 들어 가장 적은 1h를 나타내고 있었다. 탄소 제로 건물에 적용된 여러 기술도 중요하다. 하지만 건물 내에서 녹색생활을 실천하는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늦은 밤 자동차를 몰고 인천 집으로 향했다. 탄소 제로 건물에서 근무한다는 자부심도 있지만 막상 건물 밖에서의 생활은 변한 것이 없어 부끄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정 생활에서도 그렇고 출퇴근 수단으로 매연이 발생하는 자동차를 이용한다는 점도 일반인들과 다를 게 없기 때문이다.
글 사진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1-04-2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