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폭설·혹한에… 작년 252건 ‘사고뭉치鐵’

폭우·폭설·혹한에… 작년 252건 ‘사고뭉치鐵’

입력 2012-02-03 00:00
업데이트 2012-02-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하철 사고 왜 잦나

올 들어 지하철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한파가 오거나 폭설·폭우가 내리는 날이면 어김없이 운행중단 사태가 발생한다. 전문가들은 노후한 시설과 차량, 그리고 외부에 노출된 역사와 노선 등이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이미지 확대
2일 오전 서울 지하철 1호선 종로5가역에서 고장 난 열차를 이송하던 열차가 다시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해 보수반원이 긴급 수리를 하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2일 오전 서울 지하철 1호선 종로5가역에서 고장 난 열차를 이송하던 열차가 다시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해 보수반원이 긴급 수리를 하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55년 만의 한파가 몰아닥친 2일 차량 탈선 사고가 발생하면서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주요 환승 구간인 서울역과 종로 3가·5가역은 오전 내내 마비 상태였다. 구로역에서도 전기기기 이상으로 3시간가량 지하철이 운행되지 않았다. 지난해 7월 27일에는 폭우가 내리자 오류역이 물에 잠기면서 운행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미지 확대
악천후로 인한 사고가 잦은 구역은 대부분 1호선이다. 특히 서울메트로가 관리하는 서울역~청량리역의 지하 구간을 제외한 코레일 관할의 지상 구간에서 주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역주행 사고를 포함해 지난해 1~11월 전체 코레일 열차 사고는 무려 252건에 이른다.

이 구간에서 유독 사고가 잦은 이유는 외부에 노출된 역이 많기 때문이다. 서울 메트로 관계자는 “외부에 노출된 노선이 많아 기상재해 상황에 약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면서 “문에 열선을 설치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이번처럼 기록적 한파가 올 경우에는 막기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노후화된 시설과 차량도 잦은 사고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1호선은 1974년에 개통해 올해로 39년째 운행되고 있다. 중간중간 개·보수를 하지만 다른 지하철에 비해 차량과 시설이 낡은 편이다. 여기다 오랜 기간 적자가 누적돼 시설물 유지·보수에도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는 의견도 있다. 이상열 서울메트로 노조 교육선전실장은 “신이 와서 경영을 해도 적자가 날 수밖에 없는 구조에 적극적인 시설물 보수는 무리”라며 “공기업 선진화에 따른 무리한 인력 감축도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코레일 측은 25년 주기로 차량을 교체하고 있어 차량과 시설 노후화가 원인은 아니라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은 다르다. 진장원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시설공학과 교수는 “1호선은 외부 노출이 많은 만큼 다른 노선에 비해 시설과 차량의 노후화가 더 빨리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차량을 움직이는 전기 시스템도 비바람과 혹한에 노출되면 고장 빈도가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코레일이 고속철도 경쟁체제 도입 반대 등 ‘밥그릇’ 싸움에 매몰돼 ‘안전’을 뒤로한 게 아니냐는 비난도 있다. 이날 일어난 사고만 해도 기온 급락에 따른 방전 등에 대비하고 점검만 철저히 했다면 한파에 따른 사고는 사전에 막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코레일은 안일한 대응에 대한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잇따른 사고에 대해 코레일이 무감각해진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철도 산업계 관계자는 “코레일이 최고경영자 부재 및 고속철도 경쟁체제 논란에 몰입돼 안전 불감증이 재발하는 것이 아닌지 걱정스럽다.”면서 “지난해 2월 발생한 광명역 탈선 사고 당시 밝힌 각오를 되새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서울 김동현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2-02-03 2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