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민정실, 2009년 명단 작성… 경찰에 조사 지시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2009년 9월 ‘특정 연예인 명단’을 작성, 경찰에 비리 사찰을 지시한 사실이 확인됐다. 특정 연예인 수사는 같은 해 10월 12일 방송인 김제동씨의 KBS ‘스타 골든벨’ 하차 이후 중단됐지만 김씨 하차 이후 제기된 정권 ‘외압설’과의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다. 민간인 불법 사찰을 일삼은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도 같은해 이른바 ‘좌파 연예인’ 비리를 집중적으로 뒷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서울신문이 단독입수한 청와대의 특정 연예인 비리수사 하명 관련 정보보고 문건.](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02/SSI_20120402024156.jpg)
![서울신문이 단독입수한 청와대의 특정 연예인 비리수사 하명 관련 정보보고 문건.](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02/SSI_20120402024156.jpg)
서울신문이 단독입수한 청와대의 특정 연예인 비리수사 하명 관련 정보보고 문건.
당시 서울지방경찰청은 경제범죄특별수사대에 연예비리전담팀을 발족, 연예기획사 비리를 대대적으로 수사했다. 문건에는 ‘특정 연예인 명단’이라고만 적혀 있을 뿐 김제동·김미화씨 등 구체적인 이름은 나와 있지 않다. 사정 당국 관계자는 “김제동, 김미화, 윤도현 등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찰 조사받을 때 노 전 대통령을 옹호하거나 노 전 대통령 노제 때 현 정부 비판 발언을 한 연예인들이 조사 대상이었다.”면서 “당시 청와대에서 경찰뿐 아니라 지원관실도 동원했고, 사찰 목적은 좌파 연예인 비리 조사였다.”고 말했다.
김제동씨는 노무현재단 출범 기념문화제에서 가수 강산에와 함께 무대에 오르는 등 현 정부를 비판하는 행동을 보여왔다. 김씨의 KBS 하차를 둘러싼 ‘정치적 외압설’도 제기됐었다.
한편 지원관실은 청와대, 총리실 외에도 국가정보원 등 다른 정부기관에서도 특정 인사들에 대한 동태 파악 지시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원관실의 공식 지휘라인인 청와대 민정수석실과 총리실(사무차장과 국무총리실장)의 범위를 훨씬 넘어선 것이다. 이인규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지원관은 2010년 검찰 조사 때 “하명사건 출처는 BH(Blue House·청와대), 총리실, 국정원 외 다른 데도 있다.”면서 “하지만 다른 데서 하명 사건을 받은 것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진술했다.
김승훈기자 hunnam@seoul.co.kr
2012-04-02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