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인 사찰’ 박영준 前비서관의 차명폰 통화내역분석

‘민간인 사찰’ 박영준 前비서관의 차명폰 통화내역분석

입력 2012-05-07 00:00
수정 2012-05-07 15: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간인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 부장검사)은 7일 박영준(52) 전 국무차장 비서관인 이모(39·총리실 연구지원팀장) 서기관의 차명폰(속칭 ‘대포폰’)을 확보해 통화내역을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지난 2일 이 서기관의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차명폰을 입수하고, 통화기록과 문자메시지 수발신 내역 등을 복원하며 박 전 차장과의 연관성을 찾는데 주력하고 있다.

검찰은 또 전날 이 서기관을 참고인 자격으로 세 번째 소환해 차명폰을 개설한 경위와 실사용자 등을 추궁했다.

이 서기관은 검찰 조사에서 박 전 차장이 차명폰(대포폰)을 수차례 이용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차명폰이 증거인멸에 관한 연락수단으로 사용됐는지, 박 전 차장이 차명폰 개설을 지시했는지 등에 대해선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최종석(42·구속기소) 전 청와대 행정관의 차명폰 통화내역 분석과정에서 이 서기관 지인의 명의로 개설된 차명폰과 최 전 행정관과의 통화 기록을 입수했다.

박 전 차장은 지난 2010년 7월7일 최 전 행정관이 장진수(39) 전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에게 증거인멸을 지시한 당일 차명폰으로 최 전 행정관과 통화했다.

박 전 차장은 또 같은 달 23일 밤늦게 이인규(56) 전 공직윤리지원관 등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본인의 휴대전화로 최 전 행정관의 차명폰에 전화를 걸어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서기관의 차명폰 통화기록과 조사내용 등을 토대로 조만간 박 전 차장을 소환할 방침이다.

한편 박 전 차장은 파이시티 인허가 청탁과 함께 금품을 수수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로 사전 구속영장이 청구됐으며, 이날 밤 늦게 영장발부 여부가 결정된다.



뉴시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