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발찌 부착 2천여명 ‘보류’…재범 우려

전자발찌 부착 2천여명 ‘보류’…재범 우려

입력 2012-08-22 00:00
업데이트 2012-08-22 17: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법무부 “신속한 헌재 결정ㆍ보호관찰관 증원 필요”

성범죄자에게 전자발찌를 소급 부착하는 법률이 헌법에 어긋나는지 가려달라는 신청이 헌법재판소에 제기된 이후 전자발찌 부착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채 돌아다니는 전과자가 전국에 2천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범죄로 복역하고 출소한 전과자가 재범을 하는 사례가 최근 잇따르는 가운데 성범죄 전과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단이 마땅찮아 재범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법무부는 성범죄 전과자에게 전자발찌를 소급 부착하도록 한 개정 법률인 ‘특정 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전자발찌법)이 시행된 2010년 7월16일 이후 총 2천675건의 전자발찌 부착명령을 청구했다고 22일 밝혔다.

법원은 이 중 424건은 부착명령을 선고했고 232건은 기각했다.

2010년 8월25일 청주지법 충주지원은 전자발찌 소급 적용에 위헌 소지가 있다며 헌재에 위헌법률 심판을 제청했으며, 이에 따라 재판이 정지돼 계류 중인 사건은 7월31일 기준으로 2천19건에 이른다.

특히 재판 계류 중인 상태에서 성범죄자가 성폭력 재범을 한 사례도 19건이나 발생했다.

즉 전자발찌 부착명령 청구사건 중 15.9%만 부착명령이 내려졌고 8.7%는 기각된 반면 무려 75.5%가 결정 보류 상태인 셈이다.

전자발찌법 개정 후 부착명령이 선고된 424건 중에는 위헌심판 제청 이후에 법원이 적극적으로 소급 부착의 필요성을 인정해 부착명령을 받아들인 사례도 391건이나 된다고 법무부는 설명했다.

법무부는 “헌재가 2년째 심리 중인데 일찍 선고가 났다면 수원 흉기난동 사건과 같은 피의자에게는 전자발찌를 채워 재범을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고 말했다.

법무부는 또 강도죄를 대상 범죄에 추가하고 장애인 상대 성범죄자는 단 1회 범행만으로도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의 전자발찌법 개정안을 19대 국회에서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경찰과의 공조 강화 방안도 포함된다.

개정안은 당초 18대 국회에 제출됐으나 폐기됐다.

아울러 법무부는 “헌재가 신속한 결정을 내리기 어렵다면 정부 차원에서 보호관찰관을 대폭 늘려 위치추적 제도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전자발찌 부착자 1천26명의 감독에 필요한 전담 인원은 465명이지만 보호관찰 직원은 102명에 불과해 산술적으로는 363명을 늘려야 한다.

이철희 법무부 보호법제과장은 “선진국은 보호관찰 직원 1명당 약 40명의 범죄자를 담당하는 데 비해 우리나라는 직원 1명당 142명을 맡게 돼 있다”며 “선진국 수준의 집중 보호관찰을 위해서는 2천830명을 충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