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1m씩 커지는 ‘공포의 웅덩이’…주민 불안

매일 1m씩 커지는 ‘공포의 웅덩이’…주민 불안

입력 2012-09-19 00:00
업데이트 2012-09-19 07: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논 한가운데 지름 10m, 깊이 20m 규모2007년 지반 침하 시작…예견된 사고에 ‘뒷북 대응’

“우르르 쾅쾅. 철퍼덕 풍덩”

지난 18일 오후 충북 청원군 가덕면의 한 마을. 논 한가운데가 폭탄을 맞은 것처럼 뻥 뚫렸다. 지름 약 10m, 깊이 20m의 거대한 웅덩이가 생긴 것이다.

이렇게 황당한 사고가 발생한 건 지난 13일이다. 마을 주민인 나영예(70ㆍ여)씨가 이날 논에 나갔다가 지름 6m의 구멍을 발견했다.

나씨는 “평소처럼 일하러 논으로 갔는데 어디선가 천둥소리가 들렸다”며 “가까이 가보니 논바닥이 푹 꺼져 있었다”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이 웅덩이는 요즘도 매일 1m가량 커지고 있어 주민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이 마을에서 땅이 무너져 내린 건 이번이 세 번째이다.

2007년에도 나씨의 논 일부가 갑자기 꺼지면서 지름 5m가량의 웅덩이가 생겼다. 당시 중부 광산보안사무소에서 웅덩이에 흙을 채워넣어 복구했다.

중부 광산보안사무소 관계자는 “당시 농경지 일대가 석회암 지대여서 자연적으로 땅 아래 작은 동굴이 생겼다”며 “빗물에 지반이 약해져 농경지가 무너져 내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자연재해로 난 사고로 규정되면서 주민들에게는 피해 보상조차 없었다.

2년 전에는 이 마을 금곡 저수지의 농업용수 2∼3t이 갈라진 바닥 틈새로 스며들어 사라졌다. 이 물은 인근 광산 갱도로 흘러들어 석회암 성분인 이 일대 지반 침하를 가속화시켰다.

도의 한 관계자는 “광산에서 저수지 쪽으로 채굴작업을 했던 것이 원인으로 지적됐다”며 “중부 광산보안사무소에서 채굴 중단 지시를 내렸고, 청원군은 작업 허가를 연장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광업법에 따르면 이 광산은 현재 폐광 신고가 안돼 피해보상 책임이 광산업자에게 있다.

그러나 광산업자는 2010년 이후 자취를 감춘 상태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두 번의 지반 침하 사고를 겪고도 변변한 피해 보상조차 받지 못했다.

이 마을 이장 오충세(48)씨는 “이시종 도지사가 최근 현장을 방문,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달라진 건 하나도 없다”고 푸념했다.

오씨는 “첫 번째 사고가 났을 때 제대로 조사해 대책만 세웠어도 나머지 두 번의 사고는 막을 수 있지 않았겠느냐”고 불만을 터뜨렸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광산 작업이 중단되면서 물막음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결국 금곡 저수지에 있던 물이 흘러들어 갱도를 가득 채웠다.

이 일대 농경지 아래로 갱도가 지나가는 점을 고려하면 언제든 땅 꺼짐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셈이다.

오씨는 “뒤늦게 긴급 광해방지사업을 추진한다면서 침하된 농경지에 또 흙으로 메우는 미봉책만 내놓더라”며 “농경지를 매입하거나 갱도를 흙으로 단단히 채워 땅을 튼튼하게 만들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