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외유출 막기 위해 취업수당, 고용할당제 필요”

“역외유출 막기 위해 취업수당, 고용할당제 필요”

입력 2012-11-13 00:00
수정 2012-11-13 1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산고용포럼 토크콘서트서 동아대 교수 문제제기

”일자리를 찾아 역외로 나가는 청년을 붙잡을 수는 없다. 그러나 지역에 남는 청년들을 위한 적극적인 고용정책이 선행돼야 한다.”

동아대 경제학과 오민홍 교수는 최근 동아대 부민캠퍼스에서 열린 부산고용포럼 일자리 토크콘서트에서 기조발제를 맡아 부산지역의 높은 실업률과 구직단념자 숫자를 줄이기 위해 취업장려수당, 지역의무고용할당제, 지역고용정보시스템 구축을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해 눈길을 끌었다.

오 교수는 “인재의 역외 유출 문제는 대기업 등 좋은 일자리를 유치하는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결해야 하지만 당장 청년실업자들을 위해 단기적 해법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먼저 문현금융단지나 혁신도시에 이전하는 공기업들이 지역 출신 대학 졸업생들의 채용을 일정 비율로 의무화하는 지역의무고용할당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공기업, 대기업 등이 수도권에 몰려있는 상황에서 지역 청년들을 이전 공기업들이 조금이나마 흡수해 역외유출을 막아야 한다는 논리다.

또 지역의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구직자에게 국가가 취업 보너스로 지급하는 수당인 취업장려수당을 확대 도입해야 한다고 오 교수는 주장했다.

현재 부산지역 대학졸업자들의 평균 임금은 월 160만원 정도로,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들의 평균 임금인 208만원과의 차액을 부분적으로 보전해 구직자들의 의욕을 높여주자는 취지다.

취업장려수당 제도는 고용노동부가 2009년부터 3년간 한시적으로 시행한 바 있다.

이외에 부산지역만의 특화된 지역고용정보시스템을 구축해 고용정책의 밑바탕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특히 지역 졸업생들의 구직과정과 취업, 이직 등 고용패턴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이를 데이터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오 교수는 “부산의 노동시장은 괜찮은 일자리가 부족하고 고학력자들의 공급이 초과돼 구인구직간의 불균형은 물론 실업자와 역외유출이 발생하는 상황”이라며 “중소기업이 많은 부산의 특성상 구직자들은 취업 눈높이를 살짝 낮추고 취업장려수당, 고용할당제 등 정책적인 뒷받침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부산고용포럼이 주최한 일자리 토크콘서트에는 100여명의 학생들이 참여해 취업에 관해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나눴다.

현재 부산지역의 구직단념자 비율은 3.2%로 7대 광역시 중 최고 수준, 실업률은 6위, 고용률은 최하위이며 100인 이상 기업은 33.7%, 300인 이상 기업 15.2%로 전국 평균 41.9%, 28%에 비해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