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현지조사서 지적, 추가조사 방침 밝혀
원전 당국이 영광 원전 3호기 제어봉 안내관에서 발생한 균열 조짐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안전 관리에 소홀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민주통합당 원자력안전특별대책위원회가 13일 오전 전남 영광군 홍농읍 영광원전 5호기를 방문해 현지조사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민주통합당 원자력안전특별대책위원회는 13일 오전 전남 영광군 홍농읍 영광원자력발전소에서 현지조사를 벌여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추가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대책위 소속 의원 7명은 “영광 3·4호기 1차 계통의 관통관에서 결함이 생겨 2007, 2008, 2010년 용접으로 처리했다”, “이번 (안내관)결함을 전 주기에 발견해 관리 대상에 포함시켰다”는 보고를 받고 이번 균열이 처음이라는 원전 당국의 발표에 문제를 제기했다.
민주당 유은혜 의원은 “(안내관 등의)균열이라고 하는 정도의 결함은 이미 발견된 것 아니냐”며 “그 상태가 균열이라고 이르기까지 이상 징후가 2004년 이후 발견됐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민관합동조사단에 3호기의 안정성을 점검해달라고 부탁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원욱 의원도 “계획예방정비 기간에 발견했지 그전에 발견해서 가동 정지한 게 아니다”며 “다른 발전소에는 없다는 것을 어떻게 보장하나. 동일한 사고나 결함이 다른 발전소에서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한수원 관계자는 “2004년은 결함이라기보다 징후가 있는 것”이라며 “매주기마다 철저하게 비파괴 검사를 통해 안전성 검사를 하고 있다. 어느 단계 이상이면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는데 금년에는 기준치를 넘었기 때문에 정비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영광 3호기에서 발생한 균열을 용접으로 처리하겠다는 원전 당국의 방침도 도마 위에 올랐다.
유은혜 의원은 “발전소 가동 중에 이런 균열이 있었다면 방사능이 유출될 수 있고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사안”이라며 “천편일률적으로 용접으로 가능한 것처럼 말하지 말고 민관합동조사단에서 합의해서 처리해달라”고 요구했다.
유기홍 의원도 “용접으로 해결된다는 말을 어떻게 믿나. 미리 결론내리지 말고 안전위원회, 국회와 반드시 의논해야 한다”고 했다.
원전 당국의 안일한 보고와 준비도 질타를 받았다.
의원들은 한수원이 검증 부품과 미검증 부품을 비교하며 보여준 실물을 보며 실제 위조 부품과 다르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의원들의 항의를 받은 김균섭 한수원 사장과 한수원 관계자들이 실물을 보며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이자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기도 했다.
유기홍 의원은 “미검증 부품은 성능 문제가 아니라 서류가 갖춰지지 않은 것”이라는 원전 당국의 답변에는 “서류만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이라면 부품까지 왜 교체하느냐”며 당국의 안일한 태도를 꾸짖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