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 취업자, 대졸자보다 정규직으로 오래 못 버텨

전문대 취업자, 대졸자보다 정규직으로 오래 못 버텨

입력 2012-12-28 00:00
업데이트 2012-12-28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직능원 “정규직 유지比 4년제男 70% 2년제男 50%”

전문대 졸업생이 4년제 일반대 졸업자에 비해 정규직 일자리를 유지하는 비율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청년 실업률 증가에 따라 전문대의 학생 취업역량 강화 교육이 중시되고 있지만, 실제 전문대 졸업자의 안정적인 취업 풍토가 정착되기까지는 멀었다는 지적이다.

이미지 확대
전문대 입학박람회 북적  27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전국 2·3년제 전문대 69개교가 참가한 2013학년도 전문대학 입학정보 박람회가 열린 가운데 진학을 앞둔 많은 수험생들이 대학별 입시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전문대 입학박람회 북적
27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전국 2·3년제 전문대 69개교가 참가한 2013학년도 전문대학 입학정보 박람회가 열린 가운데 진학을 앞둔 많은 수험생들이 대학별 입시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직능원)은 27일 전문대 및 일반대 졸업자의 경력경로 실태에 관한 보고서를 내고 “일반대 졸업 남성의 정규직 유지 비율이 70%를 넘는 반면, 전문대 졸업자들은 50%대에 그친다.”면서 “최종학력에 따라 경력 안정성과 종사하는 직종의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직능원은 1960년대에 태어난 전문대 졸업자 197명, 일반대 졸업자 283명 등 480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의 직업 경력 상태를 1년 단위로 조사한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문대졸 남성의 정규직 유지 비율은 58.3%로 일반대 졸업 남성의 73.5%보다 15.2%포인트 낮았다. 30대 중반 이후 자영업으로 직업을 전환한 비율은 전문대졸 남성(약 41%)이 일반대졸 남성(약 26%)보다 높아 전문대 졸업생의 경우 직업 변동이 잦았다. 자영업으로 전환한 전문대 졸업생 가운데는 판매 종사자가 43.9%로 가장 많았고, 단순노무 종사자도 20.2%에 달했다.

일반대졸 여성(39.4%) 역시 전문대졸 여성(24.7%)보다 정규직 유지 비율이 높았다. 다만 여성의 경우 최종학력에 관계없이 30대~40대 초반에 결혼·출산·육아에 따른 경력단절 현상(전문대졸 75.3%, 일반대졸 60.6%)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최수정 직능원 연구위원은 “전문대가 직장에서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를 집중적으로 가르치는 데도 더 불안정한 직업 경로를 보인 점은 우려할 만하다.”면서 “취업률에만 의존해 전문대의 교육 성과를 판단하면 안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는 “단순 취업률뿐 아니라 취업 유지 비율을 살펴 전문대 졸업생들의 취업 질이 향상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2-12-28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