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대, 입시생 수천명 개인정보로 ‘돈장사’ 의혹

사립대, 입시생 수천명 개인정보로 ‘돈장사’ 의혹

입력 2013-07-31 00:00
업데이트 2013-07-31 15: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학 10억여원 받았을 것”…해당대학 ‘전면부인’경찰,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등 혐의 사실관계 수사중

경기도의 한 4년제 사립대학이 수년간 입시생들의 개인정보를 한 유학업체에 돈을 받고 불법으로 넘겼다는 주장이 제기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31일 A유학업체 입학팀 전 직원에 따르면 이 업체는 B대학과 이 대학 평생교육원에 입학 지원했다가 탈락한 학생 수천 여명의 개인정보가 담긴 CD를 주로 입시마감 이후 수차례에 걸쳐 전달받았다.

2009년 말∼2011년 초에는 대학 입학처로부터, 2011년 초∼2012년 말에는 평생교육원으로부터 받았다.

CD에는 학생의 이름과 휴대전화, 출신고등학교, 지원희망학과 등의 정보가 담겨 있었다.

유학업체는 CD에 담긴 자료를 출력해 직원들에게 나눠주고 나서 학생에게 일일이 전화해 지금은 불법논란으로 폐지된 ‘1+3국제전형’을 홍보하도록 했다.

전화할 때는 마치 B대학 입학처 관계자가 연락한 것처럼 거짓으로 안내해 탈락한 학생들이 쉽게 등록결정을 내리도록 유도했다는 게 이 관계자의 주장이다.

CD는 곧장 폐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1+3 국제전형’은 1년간 국내에서 수업을 받고서 나머지 기간에는 자매결연이나 협약을 맺은 해외 대학으로 진학해 학위를 받는 프로그램으로 지난해 11월 교육부(당시 교육과학기술부)가 불법행위라고 판단, 폐쇄조치 내린 바 있다.

이 관계자는 “대학과 A유학업체가 ‘1+3국제전형’으로 모집한 학생의 등록금을 각각 35%, 65% 비율로 나눠 갖는 협정을 2009년도에 맺었다”며 “유학업체는 대학의 도움으로 손쉽게 학생들을 모집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3년간 모집한 학생 수는 300여명, 1년 등록금만 1천800여만원에 달해 대학이 최소 10억 5천만원 정도의 돈을 받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교육부의 폐쇄조치 후에도 학생들의 정보를 주고받았다고도 했다.

그는 이 같은 내용을 경찰에 제보했다고 밝혔다.

해당 대학과 유학업체 모두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B대학 입학팀장은 “내가 이 부서에 오기 전에 있었던 일이다. 전혀 아는 게 없다”면서도 “입학지원학생들의 정보가 대학직원을 통하지 않고서는 외부로 유출될 수 없다”고 말했다.

대학 평생교육원 관계자는 “학생들의 개인 정보를 유출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유학업체가 별도로 입학설명회를 하면서 수집한 정보일 것”이라고 답변했다.

A유학업체 대표는 “사실과 다르다. 누군가 음해하려는 것이다. 오히려 억울한 입장이다”고 말했다.

지난해 이 대학에 입학원서를 냈다가 탈락한 한 남학생은 “대학이나 유학원이 진행하는 입시설명회에 참석한 적이 없고 입시원서만 낸 것으로 기억한다”며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는 데 어이없고 황당하다”고 말했다.

서울 서초경찰서는 이 같은 대학과 유학업체 간 불법적인 개인정보 거래에 대한 첩보를 입수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경찰 관계자는 “개인정보법위반 등에 혐의를 두고 조사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말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